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코로나19(COVID-19) 이후 한부모 가족의주거 스트레스 영향요인

이용수 1634

영문명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Rsidential Stress In Single Parent Families After COVID-19
발행기관
대한부동산학회
저자명
김승희(Kim, Seung Hee) 이한나(Lee, Han Na) 설동진(Seol, Dong Jin)
간행물 정보
『대한부동산학회지』제57호, 85~10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개발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코로나19(COVID-19) 이후 주거환경의 변화는 주거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취약계층에게 매우 심각한 스트레스를 야기한다. 특히 한부모는 비정규직, 일용직, 자영업자 등 고용상태가 불안정하고 주거의 질이 열악한 상태에 놓여있으므로, 주거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적절히 대처할 수 없다. 즉, 한부모 가족은 코로나19 이후 소득의 상실, 주거환경의 노후·협소·과밀, 돌봄 및 양육의 공백, 교육의 부재 등 다양한 원인으로 주거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나, 이에 대한 대처방식은 무적응 또는 비적응의 태도로 주거적응을 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또한 한부모 가족의 주거문제는 아동의 주거 빈곤, 교육 및 돌봄의 상대적 불평등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변화 된 주거환경에 초점을 두고 한부모 가족의 주거 내 발생하는 스트레스와 이의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국가와 지역사회의 한부모 가족의 주거지원 방향을 모색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residential stress of single-parent families is not simply a matter of housing expenses, but is linked to survival. The employment status of single parents is mostly temporary, daily workers, self-employed, etc., and they are in a position that is highly likely to experience unpaid leave, unemployment, or discontinuation due to Corona 19. Because it is directly connected to. Single-parent families have to give up caring for their children because their caregivers must perform economic activities to make a living. There is no choice but to create a gap in care. Moreover, the absence of the primary care giver s ability to guide learning and management of learning while the place of education has been moved to the residence will inevitably aggravate the relative inequality in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residential stress after COVID-19 in single-parent famil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factors influencing single-parent families residential stress to identify the causes, and to classify cluster types according to residential stress to find housing support suitable for the stress types of single-parent families. As for the analysis method, factor analysis of SPSS was performed to derive the factors influencing residential stress, and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factors as a variable to classify the types of residential stress of single-parent families. This will contribute to seeking policy support suitable for the housing situation of single-parent families after the COVID-19 outbreak.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승희(Kim, Seung Hee),이한나(Lee, Han Na),설동진(Seol, Dong Jin). (2020).코로나19(COVID-19) 이후 한부모 가족의주거 스트레스 영향요인. 대한부동산학회지, (57), 85-104

MLA

김승희(Kim, Seung Hee),이한나(Lee, Han Na),설동진(Seol, Dong Jin). "코로나19(COVID-19) 이후 한부모 가족의주거 스트레스 영향요인." 대한부동산학회지, .57(2020): 85-1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