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00년대 이후 미디어를 통한 소비와 행복의 트렌드 분석

이용수 1591

영문명
Analysis of trends in consumption and happiness through the media since the 2000s - Focusing on Big Kinds and Google Trend Analysis
발행기관
한국문화경제학회
저자명
박상준(Park Sang-jun) 원도연(Won Do-yeon)
간행물 정보
『문화경제연구』제23권 제2호, 59~8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행복과 사회라는 두 영역의 관계에 관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한다. 그리고 현대인들이 추구하는 행복추구현상 속에 담긴 행복의 요소를 사회문화적 관점으로 해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영역의 범주는 소비영역이며, 소비트렌드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기사에서 활용된 행복트렌드에 대한 데이터분석을 이룬다. 분석도구는 기사DB사이트인 빅카인즈(Big kinds)를 활용했으며, 시기적 범주는 IMF사태 이후의 시기인 2000년부터 2019년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빅카인즈에서 도출된 행복트렌드 키워드의 시대적 변화를 구분하기 위해 구글트렌드(Google trend)를 보완적 도구로 활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방향성은 빅카인즈에서 도출한 행복트렌드를 구글트렌드에 검색하여 시기별 행복트렌드의 흐름을 정리하고 시대상과의 관계에 대한 해석을 이루는 방향을 취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2000년대 이후 행복 소비트렌드는 경제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헤도니아(쾌락적) 행복론 중심의 개인주의화로 심화되고 있다. 둘째. 2000년 이후 행복트렌드는 시기적으로 2015년을 기점으로 구분되는데 ①2000년~2014년까지는 탈물질주의화를 지향하는 웰빙(Well-being)을 시작으로 힐링(Healing) 트렌드로 이어졌다. ②2015년 이후 행복트렌드는 욜로(YOLO), 워라밸(Work life balance), 혼밥(혼자 먹는 밥), 소확행(小確幸), 가심비(價心比)와 같이 다양해지며 여가와 소비 형태를 중심으로 확산된다. 2000년대 이후 행복트렌드는 사회적 소외로부터 발생되어 개인주의화의 심화에 따른 헤도니아적(쾌락적) 행복추구형태의 한계를 띄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현대인의 행복에 대한 관점을 개인보다 사회적으로 확장시켜야함을 의미하며, 유데모니아적(사회적) 행복론에 기반한 소비콘텐츠의 확장을 필요로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tarts from the problem consciousnes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reas of happiness and society. And it aims to interpret the elements of happiness contained in the happiness pursuit phenomena pursued by modern people from a socio-cultural perspective. The category of the area to be analyzed in the study is the consumption area, and as a method to confirm the change in the consumption trend, data analysis on the happiness trend used in the article is made. The analysis tool used the article DB site, Big Kinds, and the temporal category is set from 2000 to 2019, the period after the IMF crisis. In addition, Google trend was used as a complementary tool to distinguish the changes in the times of happiness trend keywords derived from Big Kinds. Therefore, the direction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the flow of happiness trends by period by searching for happiness trends derived from Big Kinds in Google Trends, and to achieve an interpreta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tim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ince the 2000s, the happiness consumption trend has been intensifying with individualism centered on Hedonian happiness theory as the economic environment changes. Second, Since 2000, the happiness trend is divided into 2015 as a period of time. ①From 2000 to 2014, the well-being trend toward dematerialism was followed by a healing trend. ②Since 2015, the happiness trend has diversified such as YOLO, Work life balance, Honbap(rice eaten alone), small but certain happiness(小確幸), and cost-effectiveness(價心比), It spreads to the center. Since the 2000s, the happiness trend has been arising from social alienation, and the hedonic form of pursuing happiness has been limited due to the deepening of individualism. And this phenomenon means that the perspective of modern people s happiness needs to be expanded more socially than individuals, and it is necessary to expand consumption contents based on the theory of eudemonic(social) happiness.

목차

Ⅰ. 서 론
Ⅱ. 소비사회와 행복트렌드
Ⅲ. 행복트렌드의 변화와 사회상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상준(Park Sang-jun),원도연(Won Do-yeon). (2020).2000년대 이후 미디어를 통한 소비와 행복의 트렌드 분석. 문화경제연구, 23 (2), 59-84

MLA

박상준(Park Sang-jun),원도연(Won Do-yeon). "2000년대 이후 미디어를 통한 소비와 행복의 트렌드 분석." 문화경제연구, 23.2(2020): 59-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