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제시기 한국과 대만의 초등 미술교과서 내용 분석

이용수 172

영문명
Content Analysis of Art Textbooks of Korea and Taiwan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김은경(Kim Eun Kyung)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75집, 83~126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31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제 식민지 시기 한국과 대만의 초등 미술교과서의 내용 분석을 통해 당시 미술교과서에 나타난 특징을 보다 명확히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대상은 1921년 조선과 대만총독부에서 편찬된 『보통학교도화첩』과 『공학교도화첩』으로 하였으며, 모본인 『신정화첩』과 더불어 비교함으로써 일본 본국과 식민지인 한국과 대만의 미술교과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먼저 학년별 3종 교과서의 단원구성 및 제재유형별 비중을 살펴본 결과, 대만의 『공학교도화첩』은 『신정화첩』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단원명 또는 제재를 활용하고 있어 단원구성에 따른 제재유형의 비중이 유사한 반면, 조선의 『보통학교도화첩』은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특히 제재 중 한국의 전통 문화적 측면이 반영된 도판들이 발견된 점은 주목할 만하다. 한편 3종 교과서 전 학년 단원의 제재 비중을 종합하여 살펴본 결과로는 3종 교과서 모두 사물을 제재로 한 단원의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다음으로 중시된 제재는 『신정화첩』의 경우 동물 관련 제재로 나타났으나, 『보통학교도화첩』과 『공학교도화첩』은 도안 제재가 차지하고 있어 실용적 목적이 강조되었다고 판단된다. 다음으로 제재유형별 교육내용을 살펴본 결과, 3종 교과서 모두 각 제재를 통한 기본 형태의 개념 인식과 정확한 묘사능력, 다시점(多視點)에 의한 형태 변화에 대한 인식 및 활용능력 함양을 위한 교육내용을 공통으로 다루고 있다. 그러나 『보통학교도화첩』에서는 미적 가치의 발견, 실재 사생을 통한 도안의 편화(便化) 방법, 장식화 등의 내용을 다루고 있어 두 교과서와의 차이를 보인다. 마지막으로 교육영역과 매체사용 측면에서 살펴본 결과, 『신정화첩』과 『공학교도화첩』은 묘화 능력 향상을 위한 임화 교육영역이 중시된 반면, 『보통학교도화첩』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임화, 사생, 기억화 등을 기반으로 한 고안화 영역의 교육을 중시하고 있다. 또한 3종 교과서에서 언급된 매체의 사용은 연필, 색연필, 각종 자, 컴퍼스 등이 보편적으로 사용되었으나 수채 용구와 모필의 사용은 『보통학교도화첩』에서 좀더 다양한 활용방법 등이 제시되고 있다. 결국 일본은 ‘황국의 충실한 신민 육성’을 위한 ‘동화주의’를 내세워 식민지인 조선과 대만에 대해 동일한 교육체계와 교육 목표를 제시하였지만, 양국의 식민화 과정이나 기간, 사회경제적 구조, 특히 근대 교육에 대한 역사적 기반의 차이로 인해 실질적 교육 매체인 미술교과서 내용 구성에 있어서는 이를 감안하여 편찬한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contents of Korea and Taiwan’s historical art textbook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ith a goal of outlining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textbooks. The textbooks used for content analysis are the elementary art textbook of Korea and public school drawing textbook of Taiwan both compiled in 1921 and modeled after the Japanese state textbook. By comparing these textbooks, this study examine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Japanese art textbook and the art textbooks of Korea and Taiwan that were colonies of Japan at the time. An analysis of three types of art textbooks for each grade in their unit contents and coverage of subjects reveals that while Taiwan’s art textbook shows similar or same unit names and subjects as Japan’s art textbook, Korea’s art textbook shows greater differences especially in its incorporation of illustrations reflective of Korea’s traditional culture. A broader analysis of three types of art textbooks for all grades in their ratio of subjects covered shows highest coverage of content related to objects for all textbooks. The second highest coverage shown in Japan’s art textbook is related to animals while for art textbooks in Korea and Taiwan, it is related to design . It can be said that for Korea and Taiwan, there is an emphasis placed on practicality. Next, an analysis of educational content by subject types reveals that in all three types of art textbooks, lessons covered includes: basic concept and precise depiction lessons for each subject, and lessons on understanding shape differences and applications related to multi-view drawing. Korea’s art textbook shows a distinct characteristic for it includes lessons on discovering aesthetic value, simplified drawing using real-life objects or landscapes. Lastly, examination of educational domain and media usage in textbooks show that in Japan’s and Taiwan’s art textbooks, educational focus is placed on replicating paintings through advanced painting techniques. For Korea’s art textbook, educational focus is placed on design through lessons including replicating paintings, sketching, and painting by memory. Common art tools used for all three types of textbooks include pencil, colored pencil, various rulers and compass. The most diverse application methods for water color and painting brush tools are mentioned in Korea’s art textbook. In order to “raise loyal subjects for the empire” through assimilation, Japan introduced the same educational system and goal to its colonies Korea and Taiwan. However, due to the varying length and process of colonial rule, socioeconomic structures and historical differences facing modernization, art textbooks from Korea and Taiwan show differences in their content.

목차

Ⅰ. 머리말
Ⅱ. 일본의 식민지 교육정책과 초등 미술교육
Ⅲ. 한국과 대만의 초등 미술교과서 내용 분석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경(Kim Eun Kyung). (2020).일제시기 한국과 대만의 초등 미술교과서 내용 분석. 역사문화연구, 75 , 83-126

MLA

김은경(Kim Eun Kyung). "일제시기 한국과 대만의 초등 미술교과서 내용 분석." 역사문화연구, 75.(2020): 83-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