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언어 네트워크 분석에 기초한 최근 ‘질문’ 연구 현황 분석

이용수 142

영문명
Analyzing the Status of Question Research Based on Language Network Analysis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김기태(Kim, Kitae) 한기순(Han, Kisoon)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8권 제3호, 27~46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7.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질문’을 주제어로 하는 연구 주제의 최근 5년 동안의 연구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교육 현장에서 질문의 의미와 중요성을 탐색하고 질문과 관련한 연구들의 의미구조 확인을 통해 앞으로의 질문 연구의 방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으로‘질문’을 주제어로 최근 5년 동안의 국내학술지 논문 중 교육과 관련된 논문 204건을 선택하여 연구 주제 키워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질문’키워드를 제외하고 빈도 분석에서는‘교육’,‘발문’,‘교사’,‘학생질문’,‘초등’,‘수업’ 등의 키워드가 높게 나타났다. 매개 중심성에서는‘초등’,‘국어교과서’,‘학생질문’,‘발문유형’,‘질문전략’ 등이 높게 나타났으며, 근접 중심성이 높은 단어는‘초등’,‘국어교과서’,‘학생질문’,‘발문유형’,‘상호작용’로 나타났다. 아이겐벡터에서는‘교사용 지도서’,‘누리과정’,‘발문유형’,‘초등’,‘교사교육’ 등이 상위 순위로 나타났고, 커뮤니티 분석에서는 교사의 발문과 학생 질문의 상호작용에 주목하여 여러 수업 장면에 적합한 학생 중심의 질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빈도수가 상위 10위 이내의 핵심어 중 매개, 근접, 아이겐벡터 중심성이 모두 높은 핵심어를 분석한 결과,‘초등’과‘발문 유형’이 세 가지 중심성 항목에서 공통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등교육에 비해 초등교육 현장에서, 그리고 학생의 질문에 비해 교사의 발문유형에 대한 연구주제가 상대적으로 활발했음을 알 수 있었다. 국어, 수학, 과학 등 특정 교과에 집중된 질문 관련 연구 현황을 볼 때, 보다 다양한 교과에서의 질문 연구와 중고등학교 상황에서의 발문과 질문에도 관심을 갖고 연구수행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교사의 발문 뿐만 아니라 학생의 질문에 대한 피드백 역시 질문의 한 영역으로 인식되고 연구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overall structure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by analyzing research status on ‘ques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204 papers from domestic academic journals over the last five years, with the keyword of question as the subject of research, were se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keywords such as education , exploration , teacher , student question , elementary , and class were found to be high use in a frequency analysis. Intermediate , Korean textbook , student question , type of teacher inquiry , and question strategy were high in the median centrality. In Eigen Vector, teacher s guide , Nuri course , type of teacher inquiry , elementary , and teacher education were highly ranked. The community analysis showed that the study was conducted by not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s inquiry and student questions. As a result of analyzing key words with high mediation, proximity, and Eigen Vector centrality among the top 10 key words, elementary and type of teacher inquiry were found to be common among the three centrality items. When looking at research status focused on primary education and specific subjects (language, mathematics, and science),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question process of various subjects and to be interested in questions that can increase creativity and interact with learners in middle and high schools. Also,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not only the teacher s inquiry but also the feedback on the student s questions is important. As revealed in the study, ‘question’ is an effective tool that can develop the students high-level thinking, so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tudy at various levels and though more fields in the futur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기태(Kim, Kitae),한기순(Han, Kisoon). (2020).언어 네트워크 분석에 기초한 최근 ‘질문’ 연구 현황 분석. 열린교육연구, 28 (3), 27-46

MLA

김기태(Kim, Kitae),한기순(Han, Kisoon). "언어 네트워크 분석에 기초한 최근 ‘질문’ 연구 현황 분석." 열린교육연구, 28.3(2020): 27-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