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觀復菴 金崇謙의 次韻詩 작법과 운용의 실제
이용수 136
- 영문명
- Gwanbokam(觀復菴) Kim Sung gyeom(金崇謙)’s Chaun-si(次韻詩) Writing and Operation Practice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 저자명
- 노현정(Noh Hyun Jung)
- 간행물 정보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63輯, 5~41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觀復菴 金崇謙(1682~1700)의 차운시의 내용적・형식적 특성을 알아보고 더불어 관복암의 차운시의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관복암은 조선후기 시인으로 어렸을 때부터 부친 農巖과 숙부 三淵으로 부터 시를 배웠다. 농암과 삼연뿐만 아니라 杜甫・尤庵 宋時烈・揖翠軒 朴誾 등 당대의 학자들을 배우며 그들의 시를 차운하였다.
觀復菴詩稿 에 나오는 차운시는 총 17題로 오언율시, 칠언절구, 칠언율시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을 각각 원운시와 차운시의 내용을 비교분석하고 평측의 법칙을 어떤 식으로 적용했는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오언율시는 三淵 金昌翕의 시, 칠언율시는 簡齋 陳與義의 시, 칠언절구는 農巖 金昌協, 柳下 洪世泰의 시를 들여다보았는데, 이들의 시는 전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관복암은 어려운 시어는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풍경이나 감정을 자신만의 느낌으로 잘 묘사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시가 도치 없이 차례로 번역되어 시를 처음 읽는 사람들이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는 초학자적인 면모를 보이지만 그 속에서 그만의 의경을 잘 지켜나가려고 노력하였다. 또, 형식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면, 관복암은 나름대로 평측을 지키려고 노력하였음을 알 수 있다.
초학자의 학시 과정에 있어서 차운시는 유용하다. 시를 쓰는 방법이나 부친과 숙부로부터 시를 배워 활용한 것을 관복암은 잘 보여주고 있다. 그가 길지 않은 생애동안 자신만의 시적세계를 가지고 그 속에서 배움을 활용하여 실질적인 차운시에 적용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하지만 그가 부친과 숙부의 시어를 가져다 썼으나 같은 의경이라고 해도 맛을 달리할 수 있는지는 조금 더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본고는 관복암의 차운시를 통해 평측의 법칙과 관복암의 차운시의 특징을 알아보는 데에 집중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차운시를 분석하고 글자를 놓는 방법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will examine the contents and formal characteristics of Chaun-si(次韻詩) in Kim Sung gyeom(金崇謙, 1682~1700) and als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haun-si(次韻詩) in Gwanbokam(觀復菴).
Gwanbokam(觀復菴) was a poet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learned poetry from his father Nongam(農巖) and uncle Samyeon(三淵). Not only Nongam(農巖) and Samyeon(三淵), but also Dufu(杜甫) and U-am(尤庵) Song Si-yeol(宋時烈) and Eup-chwi-heon(揖翠軒) Park-Eun(朴誾) scholars of the time and learned their poems.
Chaun-si(次韻詩) in Gwanbokamsigo(觀復菴詩稿) has a total of 17 titles, consisting of 5 words Yulshi(律詩), 7 words jeolgu(絶句), and 7 words Yulshi(律詩).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Wonwoon-si(元韻詩) and Chaun-si(次韻詩) respectively, and looked at how the law of pyeong-cheug(平仄) was applied.
The 5 words Yulshi(律詩) looked at the poems of Kim Chang Heup(金 昌翕), the 7 words Yulshi(律詩) looked at the poems of Gan-je(簡齋) Jin-Yeoui(陳與義), and the 7 words jeolgu(絶句) looked at the poems of Nongam(農巖) Kim Chang Hyeop(金昌協) and Yu-ha(柳下) Hong Se-tae (洪世泰). Their poetry as a whole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Gwanbokam(觀復菴) portrayed the scenery or emotions with its own feelings without using difficult poetic words. This seems to be a beginner, but within it, he tried to keep his will. Also, from a formal point of view, it can be seen that Gwanbokam(觀復菴) tried to protect its own pyeongcheug( 平仄).
Chaun-si(次韻詩) is useful for beginners academic courses. Gwanbokam (觀復菴) shows how to write poetry and how to learn and use poetry from father and uncle. It is noteworthy that he took his own poetic world and applied learning to practical poetry in his not long life. However, although he wrote the poetic words of his father and uncle, it is necessary to think a little bit more about whether the taste is different even if they are the same mind.
This paper focused on finding out the laws of pyeong-cheug(平仄) and the characteristics of Gwanbokam(觀復菴)’s Chaun-si(次韻詩) through Gwanbokam(觀復菴)’s Chaun-si(次韻詩). These studies will help you to analyze the rhyme and understand how to place letters.
목차
1. 문제제기: 관복암의 삶과 차운시
2. 차운시 창작의 실제
3. 맺음말을 대신하여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ㆍ유행어ㆍ은어 사용 실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재미 한인 1세대가 상상한 19세기 역사, <홍중래전>
- 비장애인 중심 사회의 삼설기본 <노처녀가> -『모든 몸은 평등하다』(2012)를 참고하여-
- 퇴계와 율곡 한시에 나타난 자연 공간과 자연물의 성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