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병와 이형상의 제주지방 의례정비와 음사철폐에 대한 소고

이용수 371

영문명
An analysis of Byungwha Lee Hyung-Sang’s logicsfor the reestablishment of Jeju Island’s ritualsand abolition of shamanistic rites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김새미오(Kim, Saemio)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63輯, 103~140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병와 이형상이 제주목사 시기에 있었던 무속철폐의 논리를 살핀 글이다. 제주에서 이형상은 무속의례를 철폐하고 제주풍속을 바꾼 상징적인 인물이다. 이형상은 ‘어떻게 기존의 무속의례를 깨뜨리고, 교화시키려했을까?’하는 것이 본고의 시작점이다. 이어서 제주 관련 지리지를 통해서 조선시대 제주의례를 정리하고, 음사에 관한 이형상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제주에 음사가 적지 않았고, 이에 대한 당시 관점이 매우 부정적이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어 본격적으로 이형상이 올린 장계를 중심으로 제주의례에 관련한 사항을 정리하였다. 이는 무속철폐의 논리를 확인하기 위해서였다. 이형상의 장계는 ‘풍운뇌우단, 산천제, 삼성묘’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풍운뇌우단은 이형상 재임기에 철폐되었다. 이형상은 국왕이 지내는 의례를 제주에서 진행되는 것에 대해 의심을 품었고, 예조에 품의한 후에 이를 철폐하였다. 산천제는 한라산신제에 관련한 사항이다. 이에 대해서는 조정에 향과 축문을 청하여 공식의례로 전환하였다. 삼성묘 건립은 제주시조와 직접 관련된 장소이기에 신중하게 접근하였다. 이형상은 모흥혈이 있는 곳에 삼성묘를 세우지 않고, 제주성안 옛 제주향교 터 옆에 삼성묘를 세웠다. 이는 무속의례가 행해지던 광양당을 벗어나 이 곳을 유교화 하려던 의도였다. 이형상의 제주지역 의례에 대한 제반조치에는 많은 반발이 있었다. 풍운뇌우단은 이형상이 떠난 후에 다시 공식의례로 복원되었다. 제주무속철폐에 대해 이형상 자신은 제주의 민폐를 없애준 것에 대한 지역사람들의 고마움으로 표현했지만, 민중들은 강제적인 조치로 인식하였다. 제주설화에서는 이형상의 조치에 대해 결국은 그의 아들이 죽는 것으로 표현되었다. 이형상의 제주지역 의례정비 방향은 먼저 기존의례에서 어긋난 사항을 정리하고, 철폐할 것은 철폐하고 남겨야할 것은 국가 공식의례로 전환시키는 것이었다. 이를 통해 음사를 철폐할 수 있는 논리와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형상은 이런 과정을 통해 무속에 젖은 제주풍속을 유교화 하려고 했다. 이를 통해 제주문화에 있어 많은 부분이 유교화 된 측면은 있다. 하지만 이후에도 제주 무속의례는 사라지지 않고 그 명맥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logics of Byungwha Lee Hyung- Sang for abolishing shamanism in Jeju Island during his term as a Jejumoksa(a government job comparable to the current Jeju city mayor). In the island, Byungwha is known as a symbolic figure who abolishes shamanistic rituals and transforms the island’s customs into a confucius way. This paper starts with a question how Byungwha breaks the longstanding shamanistic rituals and reforms it with a confucius teaching. To respond to the question, I first identified the forms of Jeju island’s rituals during Chosun dynasty period and Byungwha’s perception of the island’s shamanistic rituals by reviewing the island’s geographical literature. I found out that shamanistic rituals were then commonly practiced in the island and social perception towards such practices was very negative. I further identified Jeju Island’s rituals focusing upon Byungwha’s administrative documents submitted to the King. This work was done to clarify his logics that were adopted in order to abolish shamanistic rituals in Jeju Island. His documents covered three main subjects: Poongwunneoudan, Sancheonje, Samgsungmyo. Poongwunneoudan was abolished during his term of office. Byungwha did not believe that Poongwunneoudan, the King’s ritual, could take place in Jeju; accordingly, he consulted the ministry of culture and abolished it. Sancheonje concerns the ritual services of Halla Mt’s gods. Regarding this, he turned it to the official ritual by asking the royal court for incense and congratulatory messages. For the erection of Samgsungmyo, he carefully approached it because it related directly to the founders of Jeju Island. Byungwha did not erect Samgsungmyo at a place of Moheunghyoul. Instead, he constructed it next to the site of the former Jejuhyangkyo (national school in Jeju) inside the fortress of Jeju (seongahn). The intention behind this action was to move away from Gwangyangdang where shamanistic rituals were practiced and to transform that seongahnarea in a confucius way. Byungwha’s transformative actions for Jeju rituals confronted significant backlash. Poongwunneoudan was recovered after Byungwha left Jeju. Byungwha himself considered that local people of Jeju island appreciated his abolishment of the shamanistic rituals. On the contrary, ordinary people perceived it as forcefully undertaken actions. In Jeju island’s folk tales, Byungwha’s son was described to have a fateful death due to his father’s severe abolishment manners. Byungwha’s reestablishment policy of Jeju island’s rituals was oriented to correct their inconsistent components to the previous; and further to formally put an end improper rituals and to transform those rituals that deserve to remain into national, formal, rituals. Through this reformative process, Byungwha aimed to change Jeju island’s folk ways that were deeply influenced by shamanism drawing upon confucius ideas. It is true that extensive aspects of Jeju island society turned to be shaped by Confucianism. However, Jeju island’s shamanism has still remained in existence.

목차

1. 들어가며
2. 제주의 지방의례와 음사
3. 이형상의 제주지방 의례정비
4. 이형상 이후의 제주지방 의례의 변화
5. 음사의 철폐와 제주민중의 반응
6.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새미오(Kim, Saemio). (2020).병와 이형상의 제주지방 의례정비와 음사철폐에 대한 소고. 대동한문학, 63 , 103-140

MLA

김새미오(Kim, Saemio). "병와 이형상의 제주지방 의례정비와 음사철폐에 대한 소고." 대동한문학, 63.(2020): 103-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