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적원도를 활용한 신라 무진주(무주) 경관 복원

이용수 180

영문명
Restoration of the Landscape of Silla Mujinju(Muju) using Original Cadastral Maps
발행기관
한국고지도연구학회
저자명
도도로키 히로시(Todoroki, Hiroshi)
간행물 정보
『한국고지도연구』제12권 제1호, 5~2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신라 무진주 치소를 사례로, 지적원도를 활용한 고대 도시의 미시적 경관복원에 대해 시도해 보았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이하와 같다. 무진주의 도시계획은 많은 신라 9주5소경 도시들과 마찬가지로, 격자형 방리를 사용해 정연하게 계획되었다. 방리는 1개 방 당 약 160m 사방이며, 정 동서남북을 보고 있지는 않고, 광주천 따라 서북서 쪽으로 크게 기울고 있었다. 방리는 광주천과 서방천 사이의 평지를 메우듯이 널리 분포하고 있는데, 주작대로에 해당될 간선가로가 백제 및 중국 방면으로 뻗어 있어서, 방리를 처음 만든 것은 백제나 당이었을 가능성이 제기되며, 출토 유구와 유물로 보아 백제 말기임이 유력하다. 제말나초로 걸쳐 무진주 도시계획은 연속되었다고 보는 것이 자연스러울 것이다. 그렇게 되면 신라 9주5소경의 방리식 도시계획은 신라 자체 계획된 것과 백제로부터 이어받은 것으로 나눌 수 있을 것이며, 향후 양자의 비교도 필요해질 것이다. 남원경과 무진주 도시계획의 공통점은 주작대로 너비가 80m로 1방 너비의 절반으로 달하는 점과 주작대로가 방리 구간을 관통하여 관아 위치가 막바지가 되지 않은 점인데, 이 공통점이 ‘백제식’일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신라 치하에 들어간 후에는 통일신라시기에 조성된 것으로 생각되는 나성인 무진도독고성을 경계로 한 대략 남북13방, 동서4방 정도의 도시구역이 존재했던 것으로 사려된다. 단 무진도독고성의 형태가 부정형이며, 남쪽에는 방향이 다른 방도 있어서, 정확가지는 않다. 백제 옛땅과 연결될 남북방향 대로와 왕경과 연결될 동서방향 대로가 무진도도고성 한가운데에서 교차하는데, 대로들로 4분할된 4개 방들이 조선시대까지도 기례방, 공수방, 부동방, 두방(편방) 등 경계선도 거의 그대로 방면 수준의 행정구역으로 존속되었다. 한편 편방에 있었던 관아 구역은 입지는 거의 그대로 고려말에 읍성으로 위곽되어, 그 부분에 방리의 교란이 생겼으며, 또 무진도독고성과 광주읍성 안에서도 도시 권역의 축소에 따라 농경지가 늘어났으나, 기본적인 도시안 구조는 조선시대까지 변화지 않았다. 더구나 관아 구역은 21세기 초까지 전남도청 자리로 같은 기능을 유지하였고, 현재 광주 구도심의 가로 구성은 옛 남북대로가 충장로로, 동서대로가 중앙로로 남는 등 방리제 당시의 흔적을 고스란히 전하며, 무진도독고성 역시 해자였던 동계천 복개도로를 비릇 지도상에 흔적을 남기고 있다. 다른 9주5소경 도시도 마찬가지지만, 현대 한국의 지방중심도시는 현대도시의 면모를 가지면서 확실히 고대도시 유전자 위에 입각하고 있는 것이다. 관아 입지의 불변성, 방리제 후에 만들어진 나성, 행정구역이나 가로망에 나타나는 도시계획의 현대까지의 계승 등은 다른 도시의 사례연구들과 종합할 때 거의 일반화될 사실로 보인다. 향후, 지적원도 수준의 전수조사를 통한 일반화의 완성, 그리고 9주5소경 아닌 군현 단위의 도시로의 부연 가능성 등 후속연구를 해 나가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ttempted to restore the microscopic landscape of the cities of Silla through land registration maps. The case city is the current Mujinju, Gwangju city as present. Mujinju s urban planning had used grid-like streets like other Silla’s major cities. The width of each grid was about 160m per block. Along the Gwangju River, it was leaning to the northwest. The main road stretched toward Baekje or Tang’s capital. Therefore, it is possible that they were the first to plan the city. In particular, it is probable that it was the end of Baekje, sccording to the relics and remains. The city plan was inherited to Silla. Under Silla’s reign, Mujin-Dodok Fortress was built around the city. Also, another trunk road was constructed along the highway leading to the capital of Silla. As a result, Mujinju was divided into four administrative districts by two trunk streets.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a small Gwangju-eupseong Fortress surrounding government office was builed. But the four districts survived until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And the location of the government office was used as the same purpose until recently. The current urban planning in the center of Gwangju also reflects ancient urban planning.

목차

1. 들어가며
2. 무진주의 역사와 지리
3. 고지도와 지형도를 통한 광주 지역구조
4. 지적원도를 통한 무진주 경관 복원
5.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도도로키 히로시(Todoroki, Hiroshi). (2020).지적원도를 활용한 신라 무진주(무주) 경관 복원. 한국고지도연구, 12 (1), 5-24

MLA

도도로키 히로시(Todoroki, Hiroshi). "지적원도를 활용한 신라 무진주(무주) 경관 복원." 한국고지도연구, 12.1(2020): 5-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