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대적 장소와 일상의 실천

이용수 1041

영문명
Modern Places and the Practice of Everyday Life
발행기관
한국비평이론학회
저자명
김언영(Eon-young Kim)
간행물 정보
『비평과 이론』제25권 2호, 31~5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어문학 > 영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미셸 드 세르토와 앙리 르페브르를 중심으로 근대사회에 대한 자각을 통한 일상 공간의 전술과 전략적 전유의 실천 가능성을 고찰한다. 마르크 오제는 “비장소”를 통해 현대 사회의 구조를 효과적으로 드러내었는데 그것은 미셸 푸코의 “통치성”의 작동원리와 닮아있다. 근대는 통치성의 사회로 인구를 생명정치의 대상으로 삼아 전체를 통치함과 동시에 개인을 개별화하여 통치해나간다. 푸코의 논의에서 중요한 지점은 통치성이 자유주의와 자유를 작동기제로 삼아서 비가시적이고 미시적으로 권력의 지배를 가능케 하였다는 사실이다. 푸코의 자유주의는 자본주의의 통치성에 지배된 상태로서 자유를 통치성의 원리로 활용하고 있다. 이에 반해 자유는 자유주의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가능성이며 통치 받지 않을 권리로 볼 수 있다. 하지만 통치성의 표본적 공간인 오제의 비장소는 자유를 허위적으로 활용하며 개인을 통치의 망 안으로 끊임없이 포섭하기에 주체가 스스로의 자유를 실천할 수 있는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 이에 공간적 실천의 전략과 언어적 전략을 결합한 드 세르토와 독특한 변증법적 구조를 통해 자본과 노동의 리듬을 파악하고 분석한 르페브르의 논의를 가져와 일상에서 자유의 공간을 확보해내는 실천적 차원의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드 세르토는 “걷기”의 행위를 통해 보행자가 도시 공간을 다시 쓰는 미시적 차원의 전술을 제시하였고, 르페브르는 변증법적으로 도시의 “리듬”을 분석하는 것으로 노동하는 삶의 이질적 시간을 드러냄으로써 자본주의하에서 빼앗긴 시공간과 조련된 몸을 되돌리게 하는 거시적 전략을 펼쳤다. 드 세르토와 르페브르의 상호 보완적 읽기는 푸코의 전략적 차원이 결여한 틈새를 보충하며 근대의 일상성에서 자유의 실천 가능한 공간을 구현한다.

영문 초록

This essay examines the practice of freedom in everyday life by analyzing the theories of spatial practice. Marc Augé effectively presented the space of “supermodernity” with the term “non-places”, which can be regarded as a sample space where Michel Foucault’s “governmentality” works. Governmentality adopts both liberalism and freedom as its mechanisms, enabling the control of invisible and microscopic power. Foucault’s liberalism is dominated by the governmentality of capitalism and uses freedom as its principle. Nevertheless, freedom remains a possibility to escape the liberalism and a right not to be ruled. Yet, in Augé’s non-places, individuals are constantly caught into the network of governmentality, misinterpreting the temporary anonymity as if it were a freedom. The paradox of non-places is that it gives the subjects a sense of liberation as if they escaped the oppressed daily life but returns them back to the subjects conforming to the power structure. This essay focuses on the discussion of Michel de Certeau and Henri Lefèbvre in order to seek practical possibilities to realize freedom in everyday life. de Certeau, who combined the strategy of spatial practice with the linguistic strategy, and Lefevre, who analyzed rhythms with his unique dialectic, complement the gap that Foucault s strategy lacks.

목차

I. 들어가며
II. “비장소”의 역설과 “통치성”의 공간
III. 거시와 미시적 차원에서의 일상의 실천
IV. 나가며
인용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언영(Eon-young Kim). (2020).근대적 장소와 일상의 실천. 비평과 이론, 25 (2), 31-50

MLA

김언영(Eon-young Kim). "근대적 장소와 일상의 실천." 비평과 이론, 25.2(2020): 31-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