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화적 수행성과 양가적 드랙의 한계

이용수 622

영문명
Cinematic Performativity and The Limit of Ambivalent Drag: Focusing on Judith Butler’s Analysis on
발행기관
한국비평이론학회
저자명
장혜현(Hyehyeon Jang) 김종갑(Jonggab Kim)
간행물 정보
『비평과 이론』제25권 2호, 51~7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어문학 > 영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드랙이 전통적인 남녀 성역할 및 이성애 규범의 전복인가 아닌가에 대한 질문은 페미니즘의 주요한 논쟁점의 하나이다. 주디스 버틀러는 드랙이 젠더 규범을 강화한다는 주장을 논박하기 위해서 양가성이라는 개념을 제안하였다. 드랙은 젠더 규범을 전복할 수도 있고 강화할 수도 있는 양면성을 가졌다는 것이다. 버틀러는 영화 <파리는 불타고 있다>를 예로 들어서 이러한 드랙의 양가성을 구체적으로 논증하였는데, 영화의 전복적 수행성은 영화 자체가 아니라 관객의 해석에 의존한다. 드랙의 몸을 ‘바라보는’ 관객의 응시가 결정적인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기존의 젠더 규범을 체화한 관객은 드랙과 자신을 동일시하기보다는 혐오의 대상으로 타자화 할 가능성이 크다는 사실에 있다. 자신을 주인공과 동일시하는 관객은 드랙에게서 전복적 수행성을 발견하겠지만, 이들을 타자화하는 관객은 드랙의 행위를 젠더 규범의 단순한 패러디나 반복적 모방으로 해석하게 된다. 본고에서는 버틀러가 영화의 ‘비판적 전유’를 위한 관객 참여의 중요성을 인정하면서도 관객의 해석 또한 담론 및 젠더 규범에 구속되어 있다는 사실을 자세히 다루지 않았다고 주장할 것이다. 따라서 버틀러가 드랙의 몸을 젠더 규범의 반복으로 시각화하면서, 기존 젠더 규범의 전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관객의 해석은 ‘비판적 전유’를 통한 ‘재의미화’로 이어지지 않고 다시 기존 젠더 규범의 반복이나 강화로 이어질 수 있다.

영문 초록

One of the main issues of feminism is whether drag performance subverts traditional gender roles and heterosexual norms. Rejecting the opinion that it reinforces gender norms, Butler in her analysis of the film argued that the relation between drag and subversion is ambivalent because there is no necessary relation between them. Drag both subverts and reinforces traditional gender norms. Butler demonstrated that subversive performativity in the film depends not on the film itself but on the audience’s interpretation. Therefore, the gaze of the audience ‘watching’ drag’s body on the screen is decisive. This paper argues that we can answer the question of performative subversion only by considering the audience’s different responses to the drag’s body on the screen. The audience that identifies with drag can fully acknowledge drag’s subversive performativity. Still, if they objectify drag as the other of normative sexuality, they will end up interpreting drag merely as a playful parody or somewhat artistic rendition of traditional gender norms. Although Butler acknowledges the importance of the audience for their ‘critical appropriation,’ she does not pay theoretical attention to the fact that discourse or gender norms also constrain the audience’s interpretation. If the audience is not free from gender norms, its interpretation, not leading to ‘resignification’ through ‘critical appropriation’, can lead to the repetition or reinforcement of traditional gender norms as Butler visualizes drag s body as the repetition of gender norms.

목차

1. 서론: 젠더 수행성과 드랙
2. 영화적 수행성과 드랙의 수행성
3. 드랙을 전복적으로 ‘보기’
4. 결론: 패러디적 웃음을 넘어서
인용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혜현(Hyehyeon Jang),김종갑(Jonggab Kim). (2020).영화적 수행성과 양가적 드랙의 한계. 비평과 이론, 25 (2), 51-74

MLA

장혜현(Hyehyeon Jang),김종갑(Jonggab Kim). "영화적 수행성과 양가적 드랙의 한계." 비평과 이론, 25.2(2020): 51-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