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화 인큐베이터로서 도심지 공간 요소의 기호학적 해석

이용수 136

영문명
A Study of Semiotic Analysis of Urban Spatial Elements as Cultural Incubator
발행기관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저자명
오은주(Oh, Eun Ju) 엄기준(Um, Ki Jun)
간행물 정보
『한국디자인리서치』Vol5, No. 2(통권 15권), 107~119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사회의 변화 과정 속에서 시간적, 공간적으로 발생, 변화되어온 도심지 공간을 문화적, 기호학적 측면에서 분석, 고찰하여 주제 공간 속에 있는 문화적 요소들의 기호학적 의미와 사회문화적 함의를 이해하고자 하는 데 있다. 그 고찰의 방법으로서는 먼저 기호학의 이론적 배경과 적용될 기호 모델을 살펴보고 주제 공간의 통시적, 공시적 고찰을 통해 문화 발생과 생산지로서의 주제 공간의 시간적, 시대적 배경을 이해하며 주제 공간의 문화 기호학적 요소를 그 특성에 따라 각각의 계열체로 분류하였다. 이 같은 작업의 원인은 문화 생산지로서 그리고 이데올로기 발생지로서 도시공간의 위상을 확인하며 인간과 공간의 상호 역학적 관계를 도출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 같은 고찰의 결과로 도시공간의 사회 문화적 포지션을 재확인하고 문화 인큐베이터로서의 도시공간이 인간 생활에 끼치는 영향력을 예시하고자 한다. 또한 우리가 상상하는 미래에 대한 기대와 꿈을 현재의 도시공간에 접목시켜 인간과 더욱 활발한 상호작용을 하는 도시공간, 인간 본질을 회복하는 도시공간을 재조명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and considers urban space that has been created and changed in time and space in the process of change in Korean society in terms of cultural and semiotic aspects. As a method of consideration, we first examin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semiotics and the symbol model to be applied, and then understand the temporal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subject space as a place of production and the cultural symbolic elements of the subject space through the poetic and synchronic examination of the subject space. According to its characteristics, it was classified into each series. The reason for this work is to identify the status of cultural space and ideological origin of urban space in which we live, and to derive the inter-dynamic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space. As a result of this consideration, I would like to reconfirm the sociocultural position of urban space and illustrate the influence of urban space on human life as a cultural incubator. And we want to reconsider the urban space to combine the expectations and dreams of the future we imagine with the present urban space to contribute to achieving an urban space that interacts more actively with humans, and an urban space that plays a role in restoring the human essenc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도심지 공간의 이해와 기호학적 고찰
4. 주제 공간의 기호학적 고찰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은주(Oh, Eun Ju),엄기준(Um, Ki Jun). (2020).문화 인큐베이터로서 도심지 공간 요소의 기호학적 해석. 한국디자인리서치, 5 (2), 107-119

MLA

오은주(Oh, Eun Ju),엄기준(Um, Ki Jun). "문화 인큐베이터로서 도심지 공간 요소의 기호학적 해석." 한국디자인리서치, 5.2(2020): 107-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