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 Study of Competition Law and Policy on Predatory Pricing - Comparative Perspectives

이용수 213

영문명
발행기관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저자명
최요섭(Choi, Yosop)
간행물 정보
『법학논총』제32권 제3호, 359~39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경쟁법 혹은 독점규제법상의 시장지배적 지위 남용과 관련하여 자주 이슈가 되는 행위들이 있다. 특히 약탈적 가격은 논쟁이 될 수 있는 사업자 활동 중에 하나이다. 사업자의 가격활동에 관한 다양한 법학적·경제학적 이론들이 있으나, 이러한 이론들이 경쟁당국에 확실한 지침을 제공하기 어려운 경우에 논란이 될 수 있다. 약탈적 가격은 시장지배적 사업자가 경쟁자를 배제할 목적으로 최초에 가격을 낮게 설정하고 경쟁자가 배제된 이후에 다시 가격을 독점적 가격으로 설정하게 되는 경우를 말하며, 이를 통해 경쟁과 소비자후생을 저해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약탈적 가격은 효율적인 결과를 발생시키는 가격경쟁이 아닌 배제적 남용의 한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약탈적 가격은 사업자에게 상당한 비용을 부담시키며, 경쟁자가 약탈적 가격설정에도 살아남거나 혹은 새로운 경쟁자가 시장에 진입할 경우에 배제남용의 목적을 실제로 달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경쟁법은 낮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경쟁자가 낮은 가격을 설정한 사업자와 충분히 경쟁할 수 있는 경우에는 약탈적 가격금지 위반이 아니라고 한다. 경쟁당국은 충분한 시장지배력이 있는 사업자가 약탈적 가격을 통해 경쟁자를 배제하는 경우에만 위법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약탈적 가격과 관련된 이론은 다양하며 경쟁법 집행에 근거로 활용될 수 있으나, 여러 가지 상황의 약탈적 가격에 대하여 일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이론이나 학파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외국의 경쟁당국들은 다양한 이론을 근거로 다양한 기준을 통해서 법을 집행하고 있다. 외국 경쟁법의 내용과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의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은 제3조의2와 제23조에서 약탈적 가격 혹은 부당염매를 금지하고 있으며, 공정거래위원회도 약탈적 가격 혹은 부당염매를 배제적 남용으로 규제한다. 그러나 약탈적 가격과 관련하여 공정거래법 제3조의2와 제23조를 적용함에 있어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약탈적 가격이 성공하기 위해서 사업자의 시장지배력이 필수적인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법 제23조를 통해서 낮은 가격을 설정하는 일반적인 사업자활동까지 규제하게 된다면, 친경쟁적인 사업자활동을 금지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약탈적 가격에 대한 심사에서 시장지배력에 대한 내용을 포함해야 하며, 이때 경제학적 이론과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약탈적 가격과 관련한 최근 경제학적 내용과 외국의 경쟁당국에서 설정하고 있는 기준에 대해서 고찰한 후, 우리나라의 관련규정과 집행에서의 문제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re are a number of controversial issues in competition law and policy on abuse of market dominance, and one of them is predatory pricing. However,examining price in the market is almost always a challenging task to competition authorities, especially when diverse theories do not give a clear answer. In particular, predatory pricing is one of the most difficult subjects in competition law enforcement. It may result in harms to competition and consumers after raising prices. However, this type of practice can be somewhat costly and difficult to achieve its exclusionary purpose, particularly where its competitors survive in the market. Predatory pricing can be defined as the practice for excluding competitors on the basis other than efficiency. Nonetheless, competition law normally does not simply prevent a firm from practising this type of exclusionary practice, especially when its rivals successfully compete with it on the merits. To summarise,competition law prohibits firms with sufficient market power from misusing it to eliminate market players. The debates over predatory pricing are diverse, and it is not surprising that the divergent theories over it have introduced a number of standards for competition law and policy. Therefore, some argue that the debate about predation theory has been distorted by a number of imprecise interventions in the market. In particular,each competition law jurisdiction has different standards from each other. Furthermore, it is almost impossible to apply a theory of one school for all cases since there is no one-fits-all type model for predatory pricing. Similar to the substantive competition law provisions in other countries, the Korean competition act,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MRFTA),prohibits predatory pricing under Article 3-2 or Article 23. The Korean competition authority, the Korea Fair Trade Commission (KFTC), considers this type of business practice as an exclusionary one. Exclusion of competitors according to Article 23MRFTA refers to an unfair business practice for excluding rivals in the relevant market. However, there are some contentious issues in its application. Some may argue that Article 3-2 MRFTA, the provision of prohibiting abuse of market dominance, rather than Article 23 should apply to the predatory pricing because it is impossible for a firm without market dominant position successfully to achieve its goal of predation. It is not plausible that a competition authority can scrutinise predatory pricing by a firm without market power. Competition law analysis on predatory pricing requires an assessment of market power, and economics is essential for such assessment. This article aims to provide a better analysis on predatory pricing. This article thus discusses economic debates and current approaches in other competition jurisdictions and their different levels of enforcement, including standards of predatory pricing. It also explains the legal provisions on predatory pricing in Korea and its existing problems in competition law implementations through discussing the case law and KFTC’s decisions. Finally, this article proposes a competition law amendment and suggest criteria on predatory pricing for better and effective enforcement.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Arguments on Predatory Pricing in Competition Law
Ⅲ. Korean Competition Law Provisions of Predatory Pricing
Ⅳ.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요섭(Choi, Yosop). (2012).A Study of Competition Law and Policy on Predatory Pricing - Comparative Perspectives. 법학논총, 32 (3), 359-390

MLA

최요섭(Choi, Yosop). "A Study of Competition Law and Policy on Predatory Pricing - Comparative Perspectives." 법학논총, 32.3(2012): 359-3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