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용도지역의 공간적 특성과 범죄발생 특성 분석 연구

이용수 255

영문명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Land Use Area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rime Occurrence
발행기관
한국셉테드학회
저자명
서민진(Min-jin Seo) 서연아(Yeon-a Seo) 강석진(Seok-jin Kang)
간행물 정보
『한국셉테드학회지』제10권 제3호, 10~37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법학 > 민법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원도심을 중심으로 발달한 J시는 혁신도시조성 후 도심 기능이 분산되면서 다핵화 구조가 되었고, 유동인구 감소 및 기능의 분화로 원도심은 쇠퇴하고 있다. 범죄자료 분석결과 새로 형성된 도심지역으로 절도범죄 핫스팟이 형성되고 있지만 원도심에서의 핫스팟도 꾸준히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J시 원도심에 위치한 주거밀집지역과 상가밀집지역 중 절도범죄가 가장 많이 일어난 A동(주거밀집지역)과 B동(상업밀집지역)을 대상으로 범죄와 공간특성 및 물리적 요인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대상 범죄는 범죄예방디자인(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으로 통제 가능하다고 여겨지는 절도범죄(노상, 침입) 중심으로 설정하고, 선행연구고찰을 통해 분석에 사용할 물리적 요인은 가로특성, 건물특성, 시설특성, 범죄안전 특성, 공간구조 특성으로 분류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주거밀집지역인 A동에서 절도범죄는 비상벨 유무, 5대 범죄는 가로 폭의 적절성, 비상벨 유무, 통합도와 관계가 있으며, 폭력범죄는 유흥업소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분절축선 각도분석에 의한 통합도가 낮아질수록 범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는 기존 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공간의 중심성과 보행량(또는 유동인구)이 범죄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상업밀집지역인 B동에서는 절도범죄와 5대 범죄는 물리적 요인과 유의미한 관계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폭력범죄는 가로환경 관리상태, 이격공간 출입통제 여부, 빈집 또는 공지여부, 안심공간(편의점) 유무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용도지역을 구분하지 않고 공간적 특성과 절도범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가로 폭의 적절성, 가로의 청소 및 관리상태, 은신가능 장애물, 1층 출입문 관리상태, 방범창 설치여부, CCTV 감시범위, 조명시설, 방범시설 시인성, 유흥업소, 안심공간 유무 등이 범죄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 지역의 범위가 협소하고 범죄표본이 적어 결과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지만 용도지역별 물리적 환경의 차이를 규명하였고, 공간적 특성 및 물리적 요인에 따라서 절도범죄 발생이 변함을 확인했다는 측면에서의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용도지역을 대상으로 공간적 특성과 함께 사회인구적 특성을 종합하여 범죄발생의 관계를 고찰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Developed at the center of the Old Downtown, J-City became a multi-centralization structure as the functions of the city center were dispersed after the creation of the innovative city, and the Old Downtown is declining due to the reduction of the floating population and the differentiation of functions. Crime data analysis shows that theft-crime hot spot are forming in the newly formed urban areas, but hot spots in the Old Downtown are also steadily maintained.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crime and spatial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factors was analyzed among residential Areas and commercial Areas located in the Old Downtown of J-City, based on the most frequent cases of theft in the A-Dong (Residential Areas) and B-Dong (Commercial Areas). The targeted crime was set at the center of theft (street, invasion) considered controllable by the 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Physical factors to be used for analysis through prior research were classified as street characteristics, building characteristics, facilities and space characteristics, crime safety characteristics, and space characteristics. The study found that first, in the residential Areas of A-dong theft is related to emergency bell Presence or Absence and fifth major crimes are related to street-wide appropriateness, emergency bell Presence or Absence and integration, and violent crime is related to entertainment place. In particular, crime tended to increase as the degree of integration by segmented axial angle analysis was reduced. This is consistent with existing studies, which show that the centrality of space and the amount of walking (or floating population) are closely related to crime. Second, in the commercial Areas of B-dong,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ft and five major crimes with physical factors. But Violent crimes were found to be related to the state of management of the street environment, whether or not to enter a separate space, whether empty houses or public notices are available, and Presence or Absence there is a safe place (convenience store). Third,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characteristics and theft without distinction of use area showed that appropriateness of street width, cleaning and management of street, hideable obstacle, management of entrance door on the first floor, installation of barrier windows, CCTV monitoring range, lighting facility, visibility of crime facilities, entertainment center, and safe space are related to crime. The area under study is narrow and the crime sample is small, so the generalization of the results is limited. But,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is that the differences in the physical environment of each Land Use Areas were identified and the occurrence of theft changed depending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factors. In subsequent studi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of criminal occurrence by comb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population along with the spatial characteristics for a wider range of use area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고찰
Ⅲ. 분석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민진(Min-jin Seo),서연아(Yeon-a Seo),강석진(Seok-jin Kang). (2019).용도지역의 공간적 특성과 범죄발생 특성 분석 연구. 한국셉테드학회지, 10 (3), 10-37

MLA

서민진(Min-jin Seo),서연아(Yeon-a Seo),강석진(Seok-jin Kang). "용도지역의 공간적 특성과 범죄발생 특성 분석 연구." 한국셉테드학회지, 10.3(2019): 10-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