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교 기숙사의 범죄예방디자인 적용방안 연구

이용수 113

영문명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PTED in University Dormitory
발행기관
한국셉테드학회
저자명
안종찬(Jongchan Ahn) 강정민(Jungmin Kang) 강석진(Seokjin Kang)
간행물 정보
『한국셉테드학회지』제10권 제3호, 40~65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법학 > 민법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대학교 기숙사는 다양한 행태적 특성을 가진 학생들이 모여 생활하는 특성으로 인해서 재해재난 시 피난효율의 문제와 함께 출입통제의 한계로 인해 각종 범죄문제도 꾸준하게 발생하고 있다. 실제로 각종 언론을 통해서 대학교 기숙사의 성범죄와 절도범죄 문제가 지속적으로 보도되고 있지만, 적절한 대책 마련은 미흡하며 관련 연구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교 기숙사 거주자들의 설문 및 현장조사 결과를 통해서 문제점을 규명하고 안전한 환경조성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 대상지는 기숙사 수용률이 비교적 높은 지방 거점 국립대학교 3곳으로 선정하였고,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서 거주자 행태, 범죄에 대한 인식, 생활환경에 대한 만족도와 중요도 등의 항목을 도출하였다. 설문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과 IPA분석을 진행하였고, 현장조사는 관계자 협조를 통해 기숙사 1층 및 주변환경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기숙사 거주자는 1~2학년이 많았고, 평일과 주말의 기숙사 생활패턴에 차이가 있었다. 범죄불안감의 경우 야간 불안감 및 물건의 절도와 시설물 훼손과 같은 대물범죄의 불안감이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공간별로는 기숙사와 연계되는 보행로와 건물내부의 옥상, 계단, 복도 등 공용공간에서 인식되는 불안감이 높은 수준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숙사에 적절한 범죄예방디자인이 적용되지 못한 것과 함께 기숙사가 캠퍼스의 중심부에서 벗어나 외진 곳에 위치한 환경적 특성과 야간 학습 또는 여가생활 이후 늦게 귀가하는 학생들의 행태적 특성이 결합되어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기숙사의 환경적 특성을 공간계획, 설비계획, 안전계획 등으로 유형화시켜 분석한 결과 공간적 측면에서는 침실과 수납공간 면적의 확대 요구가 높고, 설비적 측면에서는 방음, 방습, 냉난방, 단열 등 전반적으로 개선 요구가 높았다. 안전의 관점에서는 각종 방범시설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성범죄가 반복해서 발생한 대학교 기숙사의 응답자들은 범죄예방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낮고 중요도는 매우 높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기숙사의 거주 만족도 및 학생간 교류강화를 위해서 행태적 특성을 반영한 공간과 시설확충이 중요하며, 특히 범죄불안감 감소 및 범죄예방을 위해서 공동주택에 적용되는 범죄예방디자인 요소의 적극적인 반영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university dormitory is a place where students with different behavioral characteristics live together. Due to the limitation of access control along with the evacuation efficiency during catastrophes or disasters, various criminal problems have been steadily occurring. Indeed, various media report sexual crimes and thefts in university dormitories constantly, but optimal measures have not been found or established. Furthermore, few researches have been made regarding the measur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problems and to compose a safe environment through the results of questionnaires and field investigation. Three national universities in provinces which have relatively high dormitory accommodation ratio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e study. Based on previous studies, items such as of the residents’ behavior, perception of crime, and the satisfaction and importance of living environment were derived. 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such as frequency analysis and IPA analysis. On-site surveys were conducted on the first floor of the dormitory and surrounding environments with the cooperation of related part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mostly freshmen and sophomores in the dormitory, and there was difference in dormitory life patterns between weekdays and weekends. In the case of crime anxiety, there was a high level of anxiety such as night anxiety, and the crimes against objects such as and theft or vandalism. By space, there was a high level of anxiety perceived in public spaces such as pedestrian walkways and rooftops, stairs, and corridors. It is judged that this result is due to the combination of fact that the proper crime prevention design has not been applied to the dormitory,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at the dormitory is located out of the center of the campus and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that the students who return home late at night after studying or spending time in leisure. On the other hand,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dormitory were categorized into space plan, facility plan, and safety plan. In terms of space, the demand for expansion of bedroom and storage space was high, and in terms of facilities, the demand on overall improvement such as soundproofing, moisture proofing, heating and cooling, and insulation was high. It was found that improvements of various security facilities were suggested in terms of safety. In particular, subjects who live in the dormitories where sexual crimes have been found repeatedly showed very low level of satisfaction with crime prevention and they placed a high level of importance on the crime prevention. To summarize those results, it is needed to expand the space and facilities reflecting behavior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enhance students’ satisfaction for the dormitory and to enforce communication and exchanges in the dormitory.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actively reflect the elements of crime prevention design applied to apartments and multi-household houses to reduce crime anxiety and prevent crimes.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고찰
Ⅲ. 대학교 기숙사 이용실태 조사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종찬(Jongchan Ahn),강정민(Jungmin Kang),강석진(Seokjin Kang). (2019).대학교 기숙사의 범죄예방디자인 적용방안 연구. 한국셉테드학회지, 10 (3), 40-65

MLA

안종찬(Jongchan Ahn),강정민(Jungmin Kang),강석진(Seokjin Kang). "대학교 기숙사의 범죄예방디자인 적용방안 연구." 한국셉테드학회지, 10.3(2019): 40-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