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디지털기술을 기반으로 한 교육문화혁신

이용수 238

영문명
Digital Technology-Based Education Culture Innovation
발행기관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저자명
최진숙(Jin-Sook Choi)
간행물 정보
『글로벌문화콘텐츠』제17호, 247~264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1.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십여 년간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디지털기기의 확산으로 전통적인 교육방식의 효율성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떠오른 것이 무크(MOOC)와 같은 디지털교육이고 이는 기존 교육의 근간을 뒤흔들 잠재력을 지닌 혁명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에 우리는 이러한 교육혁명을 주도하고 있는 유튜브에듀, 칸아카데미, mooc.org, 증강현실 기술 등을 중심으로 혁신적 교육문화의 특성을 규명하고, 디지털 교육혁명을 초래한 정보통신기술의 역할을 플랫폼 기술과 콘텐츠 공급자 그리고 보조도구 등으로 대별해 디지털교육혁명이 지닌 잠재력과 한계점을 파악함으로써 급변하는 교육환경이 향후 우리 교육에 미칠 시사점을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누구나 강좌를 올릴 수 있는 개방형 플랫폼형태로 “무크용 유튜브”라 불리는 mooc.org가 향후 온라인 학습서비스시장의 비약적인 발전의 핵심 동력 중 하나로 예상되는 가운데, 스칼렛 프로젝트나 구글글라스에서처럼 증강현실기술의 교육적 활용사례가 급증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디지털기술을 이용한 교육개혁은 전통적인 교육에 비하여 산출시점의 품질관리, 교육의 생산성향상, 콘텐츠 정보전달 및 교육기회 제공의 측면에서 교육민주화의 달성에 기여할 수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디지털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은 학습자의 전 학습과정을 추적함으로써 학습과정별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교수법을 과학적으로 향상시킨다. 이러한 디지털교육개혁 노력은 유사한 문제를 안고 있는 한국대학교육개혁이 지향하여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Fundamental questions have been raised about the efficiency and usefulness of traditional university education due to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widespread of digital devices. Digital education like MOOCs, which has emerged as a possible alternative, seems to have potential to disrupt the existing way of campus education. Considering these, we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education revolution and the roles of platforms (YoutubeEDU, iTunesU, and mooc.org), contents provider (Khan Academy), and supplemental devices such as social media and augmented virtual technology. An open-platform mooc.org, which is called as “Youtube for MOOCs”, is expected to be one of the pivotal driving forces to move digital education forward even further, where anyone can upload or download educational material freely. Augmented virtual technology employed in Google glass or the SCARLET Projects improve learners’ understanding greatly. In addition, we find out that this digital education not only improve educational productivity, but also contribute to educational democracy as well as to pedagogical progress by tracking the entire learning processes of learners. These findings imply to which direction Korean university education reform should lead.

목차

국문요약
1. 머리말
2. 디지털교육 기반기술
3. 콘텐츠 공급자: 칸 아카데미
4. 보조도구: 증강현실기술
5. 디지털교육문화의 혁신적 특성과 시사점
6.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진숙(Jin-Sook Choi). (2014).디지털기술을 기반으로 한 교육문화혁신. 글로벌문화콘텐츠, (17), 247-264

MLA

최진숙(Jin-Sook Choi). "디지털기술을 기반으로 한 교육문화혁신." 글로벌문화콘텐츠, .17(2014): 247-2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