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뉴미디어를 활용한 지역 박물관의 전시콘텐츠 구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533

영문명
A Study on the Composition of Exhibition Contents in Local Museum Utilizing Media: Focused on the Chongryang-san Museum in Bongwha-gun
발행기관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저자명
태지호(Jiho Tae) 권지혁(Jihyuk Kwon)
간행물 정보
『글로벌문화콘텐츠』제28호, 181~20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뉴미디어 전시환경 변화에 따른 지역 박물관의 전시콘텐츠 구성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이론적 논의에서는 지역 박물관을 문화콘텐츠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그리고 기획의 관점에서 ‘이야기의 공간’과 해석과 수용의 관점에서 ‘공간의 이야기’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박물관을 이야기의 공간으로 구성하기 위한 소재의 역할과 기획 프로세스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론적 논의를 토대로 청량산 박물관의 전시콘텐츠를 재구성해 보았다. 우선 청량산 박물관의 주제인 ‘청량산’을 소재 조사한 결과, 유산기, 주세붕, 이황의 후학, 유산기 속 명언 등의 유산문화와 청량산의 생태, 관광, 최치원, 김생, 공민왕, 불교, 의병, 설화 등의 청량산 문화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이를 기반으로 청량산 박물관을 5개의 유산문화 전시공간과 6개의 청량산문화 전시공간으로 구성하였으며 각 공간별 컨셉, 스토리 등의 공간 시나리오를 수립하였다. 그런 연후에 청량산 박물관의 전시 공간을 조닝하였다. 유산문화 전시관은 5개의 주제공간과 19개의 소주제 공간으로 구획하였으며, 청량산문화 전시관은 6개의 주제공간과 19개의 소주제 공간으로 구획하였다. 공간 설계 이후에 각 공간의 전시콘텐츠를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청량산 박물관의 전시콘텐츠에 활용 가능한 인터랙티브형, 스크린형, 특수효과형, 위치기반형, VRㆍARㆍ홀로그램형 뉴미디어와 전시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관람객의 전시경험과 전시콘텐츠 시나리오를 수립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같이 본 논문은 뉴미디어로 인해 야기된 전시환경의 변화를 청량산 박물관의 전시콘텐츠에 적용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었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전시콘텐츠의 뉴미디어 활용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 박물관의 전시콘텐츠에 적용되었을 경우, 전시 효과에 관한 수용의 맥락을 논의하지 못한 것이 한계로 남는다. 이 또한 또 하나의 주제가 될 수 있기에 향후 연구로 남겨두겠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bout the study about the composition of exhibition contents of local museum resulting from the changes of new-media exhibition environment. For this purpose, in its section of theoretical discussion, this thesis discussed the allotment of economic role to local museum, the development of new media’s exhibition technology, the deterioration of exhibition contents, and the changes in audiences’ demands from the viewpoint of cultural contents. And this thesis discussed the ‘story’s space’ from the planning viewpoint and the ‘spatial story’ from the viewpoint of interpretation and acceptance, and investigated the role of material for composing a museum as a story space and finally the planning process. Based on such theoretical discussion, this thesis recomposed the exhibition contents in Chongryang-san Museum. First of all, as the results from investigating the materials relevant to Chongryang-san, the theme of Chongryang-san Museum, this thesis could materialize the heritage culture like Yoosangi (mountain-travel record), Ju, Se-Bung, Lee-Whang’s students, and immortal sayings in the Yoosangi, the ecosystem of Chongryang-san, the sightseeing, Choi, Chi-Won, Kim-Saeng, King Gongmin, Buddhism, Civil Army, folk tales as the Mt. Chongrayng culture. Based on the results, this thesis composed the Chongryang-san Museum into the 5 heritage culture exhibition halls and 6 Chongryang-san culture exhibition halls, and established each scenario for each space like space concept and its story. And the exhibition halls of Chongryang-san museum was zoned. Each heritage culture hall was partitioned into 5 theme spaces and 19 sub-theme spaces, and Each Chongryang-san culture hall was partitioned into 6 theme halls and 19-sub-theme halls. After designing the all spaces, this thesis designed the exhibition contents for each space. For it, this thesis investigated the interactive-type, the screen-type, the special-effect-type, the location-based-type, VRㆍARㆍHologram-type new media and their exhibition effects, respectively. Based on the investigation, this thesis established audience’s exhibition experiences and an exhibition contents scenario. As seen the above results, this thesis was purposed for applying the changes of exhibition environment caused from new media to the exhibition contents in the Chongryang-san museum. However, this thesis was limited in that it only emphasized the appropriateness for utilizing the new media in the exhibition contents, but did not discuss the exhibition effect to be generated in case of really applying the exhibition contents of Chongryang-san museum from the audience. As the exhibition effect can become another research theme, so this thesis leaves it for future studies.

목차

국문요약
1. 머리말 : 지역 박물관의 패러다임 변화
2. 문화콘텐츠로서 박물관의 변화와 뉴미디어 전시환경
3. ‘이야기의 공간’과 ‘공간의 이야기’ 그리고 소재 분석
4. 뉴미디어를 활용한 청량산 박물관의 전시 공간 및 콘텐츠 구성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태지호(Jiho Tae),권지혁(Jihyuk Kwon). (2017).뉴미디어를 활용한 지역 박물관의 전시콘텐츠 구성에 관한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 (28), 181-204

MLA

태지호(Jiho Tae),권지혁(Jihyuk Kwon). "뉴미디어를 활용한 지역 박물관의 전시콘텐츠 구성에 관한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 .28(2017): 181-2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