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기 한국 모던포크의 외래음악 수용 양상과 그 의미에 관한 고찰

이용수 219

영문명
A Study on Acceptance Phase of the Foreign Music in Early Korean Modern Folk Music and Its Significance
발행기관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저자명
이주원(Joo Won Lee) 홍성규(Sung Kyoo Hong)
간행물 정보
『글로벌문화콘텐츠』제34호, 115~13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60~70년대 미국에서 확산된 저항문화의 영향으로 미국 대중음악계에는 모던포크라는 새로운 장르가 나타났다. 모던포크가수들은 미국의 기존 포크음악 특히 프로테스트 포크(protest folk)의 음악성과 정신을 이어받아 당시 미국사회에 부조리를 비판하고 반전과 평화를 외치는 노래들을 불렀다. 음악적으로도 어쿠스틱 기타 위주의 기존 포크음악의 단조로운 악기편성을 넘어 당시로서는 새로운 사운드로 인식되던 일렉트릭 기타를 도입하는 등 사운드적 변화도 시도되어 ‘모던포크’, ‘포크록’으로 불리며 새로운 장르로 구분되었다. 한국에는 1960년대 후반부터 미국의 모던포크가 유입되었으며 1970년대 한국 대중가요를 대표하는 음악양식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하지만 한국의 모던포크는 미국 모던포크 가사에 담겨 있는 저항성을 탈각하고 그 음악적 성향만을 이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 여러 논문에서 연구된 가사 내용에 대한 분석보다는 음악적 측면에서 미국의 모던포크의 한국 유입양상에 주목하였다. 한국의 모던포크 가수들은 미국을 비롯한 해외 각국의 음악을 번안하여 음반을 취입하였는데, 외래음악의 번안을 가장 직관적인 방법의 외래음악 수용사례로 보고 이러한 사실에 주목하여 당시 한국 모던포크가 수용한 다양한 음악양식을 번안가요를 중심으로 분석해 보고 이를 통해 초기 한국 모던포크의 음악적 양상을 파악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1968년부터 1970년대 후반까지의 한국 모던포크가수가 번안한 57곡을 대상으로 장르별, 국가별, 편곡 방향에 따라 분류하여 그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정리해 보면 한국 모던포크에서 번안한 외래음악은 미국의 모던포크음악보다 다른 나라 다른 장르의 음악이 더 많았다는 점, 다른 장르의 음악을 번안한 경우 어쿠스틱 기타 중심의 모던포크 스타일로 편곡을 한 곡이 다수 있었으나 음악적으로는 모던포크라 보기 힘든 곡들 역시 존재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한국의 모던포크가‘포크’라는 장르적 명칭을 가지고 있으나 음악적으로 미국 모던포크의 음악적 정체성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외래음악을 받아들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의 모던포크는 60~70년대 미국문화의 영향아래에서 성장한 당시의 청년들을 중심으로 한국대중음악의 중심장르로 자리 잡을 수 있었다. 1960년대 트로트 위주였던 가요계는 1970년대의 청년문화를 지나면서 다양한 외래음악장르의 영향으로 보다 다변화되었다. 본 논문에서 고찰한 한국 모던포크의 이러한 음악양상은 당시 청년층의 외래음악에 대한 욕구가 투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비록 미국 모던포크의 정체성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불완전한 수용에 그치고 말았으나 한국의 모던포크는 미국 모던포크 장르에만 집착하고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초기 한국 모던포크의 번안양상의 다양성은 이후 포크스타일 창작곡으로의 발전을 가져왔다. 한국 모던포크음악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해서는 번안경향 이후의 창작 포크음악을 포함하여 좀 더 넓은 시야에서 검토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차후 연구과제로 이어가고자 한다.

영문 초록

American modern folk music appeared under the influence of a counterculture which spread in the 1960~1970s in America. At the time, modern folk singers criticized the irregularities in American society. Modern folk music was separated into a new genre referred to as folk rock or modern folk, which included a new instrument-the electric guitar. Modern folk music entered Korea in the late 1960s and became the main genre of Korean popular music in the 1970s. However, modern folk music could not be implanted into the Korean consciousness in its original state, as the lyrics of American modern folk music did not contain the theme of resistance. This study considered the acceptance phase of the American modern folk music in Korea in regards to musical aspects without dealing with the lyrical aspects. There were especially many remakes of foreign music-including American music-in Korean modern folk music. This study examined the various genres which were accepted by Korean modern folk music with a focus on the remakes of foreign music which could be seen as the most intuitive examples of the variation. This study additionally examined the musical aspects of 1970s Korean modern folk music. Korean modern folk music established itself as the main genre of Korean popular music with the influx of American culture in the 1970s. The Korean pop scene-which was devoted to teuroteu music-became diverse under the influence of the various foreign musical genres in the 1970s. The Korean modern folk music scene was, however, not obsessed with American folk music as they could not understand the identity of American modern folk music.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the foreign music acceptance with a focus on the song remakes which were remade by the early Korean modern folk music scene. While the early Korean modern folk music scene certainly focused on foreign song remakes, many self-created songs appeared followed in later years. Therefore, wider-scale studies-including those on self-created music-will have to be made as a basis for future research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tricacies of Korean modern folk music.

목차

국문요약
1. 머리말
2. 미국 모던포크의 특징과 음악적 양상
3. 한국 모던포크의 외래음악 수용과정
4. 한국 모던포크에 수용된 외래음악의 음악적 특성
5. 한국 모던포크의 외래음악 수용양상이 가지는 의미
6.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주원(Joo Won Lee),홍성규(Sung Kyoo Hong). (2018).초기 한국 모던포크의 외래음악 수용 양상과 그 의미에 관한 고찰. 글로벌문화콘텐츠, (34), 115-132

MLA

이주원(Joo Won Lee),홍성규(Sung Kyoo Hong). "초기 한국 모던포크의 외래음악 수용 양상과 그 의미에 관한 고찰." 글로벌문화콘텐츠, .34(2018): 115-1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