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현장 활동에 토대를 둔 대학 글쓰기 교육 - 인터뷰와 참여관찰 등 질적 현장 연구 방법론을 응용하여

이용수 121

영문명
The Effect of Writing based on Field Work in the University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김영희(Kim, Young-hee)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7권 제3호, 483~540쪽, 전체 58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6.30
9,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대학 글쓰기 교육에 현장 활동을 도입하여 학습 주체로 하여금 실사구시적 태도로 글쓰기에 임하게 하는 동시에 자기 논리를 좀더 치밀하게 구성할 수 있게 만드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학술적 글쓰기를 위한 조사 활동, 곧 리서치(research)는 문헌 자료 수집과 현장 활동으로 나뉘는데 현장 활동은 현지조사 활동(field work)으로 불리기도 한다. 글쓰기 교육에서 현장 활동은 현장에 기초한 답사와 설문 등 을 모두 아우르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활용된다. 이 글에서 도입하는 현장 활동은 인문사회과학 분야에서 질적 현장 연구(qualitative field research)의 핵심적인 두 영역을 구성하는 인터뷰(interview)와 참여관찰(participant observation)이다. 논리적인 글쓰기 과정을 ‘문제 발견과 주제 구성→개념/가설/전제의 구성과 점검→조사 활동의 설계와 실행→자료 분석과 해석→글쓰기’의 과정으로 가설할 때 현장 활동은 주제 및 논거 구성을 위한 조사 활동과 자료 분석의 전 과정에 개입한다. 이 과정에서 학습 주체는 자신의 시각으로 문제를 발견하고 이를 자기 논리로 전개해나가는 경험을 갖게 된다. 현장 활동은 조사 주체로서 필자의 역량이 다소 부족하더라도 현지에서의 만남과 관찰, 경험을 통해 조사자인 필자 스스로가 성장해나가는 경험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인 효과가 높다. 현장 활동을 도입한 글쓰기 활동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목표를 대학 교육 과정이 요구하는 쓰기 능력 향상에 두는 한편 인문 교양의 증진과 비판적 사고 및 성찰 역량 확대에 두고자 할 때, 글쓰기 강의를 ‘학술적 글쓰기’와 ‘기타 글쓰기’로 양분하지 않고 통합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른 한편 글쓰기 교육의 실용적 목표를 단순히 쓰기 능력 신장에 한정하지 않으면서 해석적 관점의 성숙과 논리적 전개력, 문제 해결 능력의 신장 및 사회적 비판력 제고를 효과적으로 성취할 수 있다. 조사의 ‘현장’이 필자가 속한 사회적 장으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현장 활동은 필자의 존재 기반을 가로지르는 다양한 사회 문화적 맥락에 대한 탐색이자 사회적 주체로서의 자기 자신에 대한 성찰일 수밖에 없다. 또한 조사자로서 현장에 참여하는 가운데 일정한 비평적 거리를 유지하지 않을 수 없다는 점에서, 현장 활동에 토대를 둔 글쓰기는 다양한 사회 문화적 현상을 비판적으로 성찰할 기회를 제공한다. 이것은 대학 글쓰기 교육이 편협한 실용을 넘어 명실상부한 인문학적 교양 교육으로 새롭게 자리매김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intended to show the detailed curriculum and teaching model of the writing class in the area of university education, focusing on writing based on field work. The field work is interpreted to a methodology of qualitative field research academically. The term is adopted to a broader concept, meaning to all type of work on the ground in this article. Especially this study focuses on a interview and a participant observation including ethnography. The intended purpose is to argue and persuade that it is necessary that the agent of university education has to design a teaching-learning program of writing based on a interview and a participant observation including ethnography. This writing program doesn t mean simple performing of a field work itself. The writing subject might reflect on his identity and social position by meeting another one in social community, has differences from him, through a interview or a participant observation. So he is able to have a new angle on the social problems and to make a writing academically and logically concerning the social problem. The writing is very creative and successful, because of depending on his own view and logic. The program intend to actualize both a writing to learn and a writing to live through writing activity. The program makes writing subjects to seek their own viewpoints of social problems and to criticize the problems on the views. The writing subject can take a writing activity as an opportunity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writing-system immersed in formalization and this program is to re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writing-education. The most of all, this writing program enables the writing subject to perform care of the self (by Michel Foucault) socially, not privately.

목차

Ⅰ. 들어가며
Ⅱ. 현장 활동에 토대를 둔 글쓰기의 특징
Ⅲ. 인터뷰와 참여관찰을 응용한 대학 글쓰기 강의 설계
Ⅳ. 현장 활동의 실행과 글쓰기 교육의 실제
Ⅴ.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희(Kim, Young-hee). (2013).현장 활동에 토대를 둔 대학 글쓰기 교육 - 인터뷰와 참여관찰 등 질적 현장 연구 방법론을 응용하여. 교양교육연구, 7 (3), 483-540

MLA

김영희(Kim, Young-hee). "현장 활동에 토대를 둔 대학 글쓰기 교육 - 인터뷰와 참여관찰 등 질적 현장 연구 방법론을 응용하여." 교양교육연구, 7.3(2013): 483-5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