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학습양식 차이를 고려한 교양교육의 필요성 연구

이용수 129

영문명
A Study on the Needs of General Education Considered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Styles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유경애(Yu, Kyong-Ae)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7권 제3호, 139~17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6.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그동안 국내의 교육심리학 분야에서 학습자의 학습양식의 차이에 대한 논의가 간혹 있어왔지만, 이들 연구는 다양한 검사지를 통해 이루어진 개별적 연구여서 그 결과가 서로 비교된 적이 없다. 특히, 대학의 교양교육에서 대학생의 학습양식의 차이를 고려한 교양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된 적도 없고 이에 대한 논의도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Felder와 Silverman(1988)의 ILS를 사용한 국내외 선행연구들과 비교하기 위해, 중앙대학교 남녀 학생 538명에게 실시한 ILS 온라인 검사의 응답 결과를 정보인지영역, 정보입력영역, 정보처리방식영역, 정보이해영역으로 나눠 ILS 문항별, 성별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ILS를 사용한 선행연구와 연계하여 한국 대학생들의 학습양식 선호도를 논의한다. 연구결과, 성별에 따른 학습양식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한국 대학생들(N=4969)의 학습양식 선호도는 Felder와 Brent(2005)가 연구한 미국 공과대학생들((N=2506)과 달랐다. 공대생의 경우 남학생들이 많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한미 비교를 하였을 때 한국 남학생들은 미국 공대생보다 직관적 포괄적 학습양식을 더 선호하여서 학업 스타일이 문화별, 성별로 다를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하였다. 따라서 대학의 교양교육에서 보다 효율적인 학습효과와 수업 만족도를 성취하기 위하여 학습자가 선호하는 학습양식에 따라 효율적인 수업전략과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고, 성별차이를 고려한 교수학습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Employing Felder & Silverman s (1988) Index of Learning Style (IL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earning styles of 538 Korean undergraduates and discusses their preferences and gender differences in their learning styles based on the questions of four categories of ILS: perception, input, processing, and understanding. The results show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styles between genders were statistically identified: male students prefer intuitive, visual, active and global learning styles more than female students, while female students prefer sensing, verbal, reflective and sequential styles more than male students. Also,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nd the previous studies employing ILS show that the most dominant learning styles of Korean undergraduates are sensing and visual learning styles while reflective/active and global/sequential learning styles are evenly preferred. This result is different from Felder & Brent s (2005) research which shows that American engineering students prefer active and sequential learning styles to reflective and global ones. Considering that engineering students are mainly males, when they are compared with Korean male students, Korean male students prefer intuitive and global styles more than American engineering students. These different results indicate that students’ preferences of learning styles are culturally different.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gender differences in learning styles should be considered in general education and that instructors should try to find teaching methods satisfying diverse learning styles and employ them in general education.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방법과 선행연구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와 논의
V.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경애(Yu, Kyong-Ae). (2013).대학생의 학습양식 차이를 고려한 교양교육의 필요성 연구. 교양교육연구, 7 (3), 139-170

MLA

유경애(Yu, Kyong-Ae). "대학생의 학습양식 차이를 고려한 교양교육의 필요성 연구." 교양교육연구, 7.3(2013): 139-1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