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을 위한 설해 위험도 분석 방안

이용수 192

영문명
Methodology of an Analysis of Snow Disaster Risk for Establishing Climate Change Adaptation Measures
발행기관
한국방재학회
저자명
유인상(Yu, Insang)
간행물 정보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0권1호, 351~364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공학 > 기타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2.28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IPCC 제5차 기후변화 평가보고서에서 정립한 위험도의 개념을 적용하여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북도, 강원도를 대상으로 설해 위험도를 평가하고 분석하였다. 위험도 평가를 위해 위해성 3개, 노출성 6개, 취약성 4개, 적응역량5개의 세부대리변수를 선정하고 격자 및 행정구역 기반의 공간정보를 구축하였다. 대리변수의 가중치는 계층화분석을 통해산정하였으며 전문가 설문결과의 비일관성 최댓값은 9.86%로 산정되어 일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지역의설해에 대한 위험도 평가 결과, 시군구별 위험도 평균 등급이 ‘매우높음’인 지역은 울릉도, 강릉시, 속초시, 양양군, 평창군, 고성군, 동해시, 삼척시, 정선군으로 전체 행정구역 중 16.7%, ‘높음’인 지역은 태백시로 1.9%, ‘약간높음’인 지역은 울진군, 인제군으로 3.8%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지역들의 대리변수 평균 등급은 위해성 ‘매우높음’, 노출성 ‘매우낮음’, 취약성 ‘매우높음’, 적응역량 ‘낮음’ 등급으로 위해성, 취약성, 적응역량이 위험도 증가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해 위험도등급이 ‘약간높음’ 등급 이상인 12개 지역 중 격자별 위험도의 표준편차가 가장 큰 곳은 평창군으로 1.00, 이어서 인제군0.69, 정선군 0.55인 것으로 나타나 동일한 시군구 내에서도 위험도에 따라 차별화된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수립해야할 것으로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pplies the concept of risk defined by IPCC’s fifth assessment report to Daegu City, Ulsan City, Gyeongsangbuk Province, and Gangwon Province to assess and analyze snow disaster risks. Sub-indicators of three hazards, six exposures, four vulnerabilities, and five adaptive capacities were selected, and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grids or administrative districts was constructed. The weight of each indicator was calculated with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nd the maximum inconsistency of the expert survey result was 9.86%, indicating high consistency. The results show that administrative districts with an space average risk of “very high” are Ulleung, Gangneung, Sokcho, Yangyang, Pyeongchang, Goseong, Donghae, Samcheok, and Jeongseon, accounting for 16.7% of the entire administrative district. One region has a “high” risk, Taebaek (1.9%), and those with a “moderately high” risk were Uljin and Inje (3.8%). These regions have very high levels of hazards, very low exposure, very high vulnerability, and low adaptive capacity; hence, hazard, vulnerability, and adaptive capac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creased risk. Pyeongchang had the highest standard deviation of gridded risk among the 12 regions with a risk above moderately high. The standard deviation of gridded risk for Pyeongchang was estimated to be 1.0 with the highest value, followed by Inje, with 0.69, and Jeongseon, with 0.55; therefore, differentiated climate change adaptation measures should be established according to gridded risks.

목차

1. 서 론
2. 설해 위험도 평가 기법
3. 설해 위험도 평가 및 결과분석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인상(Yu, Insang). (2020).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을 위한 설해 위험도 분석 방안.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0 (1), 351-364

MLA

유인상(Yu, Insang).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을 위한 설해 위험도 분석 방안."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0.1(2020): 351-3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