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제강점기 한반도의 이중언어문학과 일본어 문헌으로 보는 조계지 상해 인식

이용수 142

영문명
Japanese Books & Bilingual Literature on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Concession of Shanghai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저자명
정병호(Jung, Byeong-Ho)
간행물 정보
『일본연구』第33輯, 183~21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2.28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일제강점기 한반도에서 간행된 일본어 문헌과 잡지, 그리고 한국인 작가의 한국어 문학과 일본어 문학을 대상으로 하여 조계지 상하이를 어떻게 인식하고 어떻게 묘사하고 있었는지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한반도에서 간행된 일본어문헌이나 일본어잡지를 중심으로 본다면 상하이사변에서 중일전쟁이 이어지는 1930년대에 상하이에 관한 기사가 집중되어 있으며, 내용의 면에서도 이 상하이사변 당시 전쟁의 추세나 전쟁을 둘러싼 국제적 정세에 관한 기사가 매우 많았다. 상하이의 문화에 관한 기사들도 자유로운 메트로폴리스라는 면보다 타락한 도시라는 부정적인 묘사가 두드러지고 있었다. 한편, 1919년 조선의 3.1 독립운동이 일어나고 나서 얼마 지나지 않은 시기에 ‘상하이임시정부’를 설립도 있었기 때문에 한반도의 일본어문헌에서는 ‘조계지 상하이’를 조선인의 독립운동의 근거지로 파악하고, 그리고 일본에 저항하는 ‘불령선인’에 대해 감시의 망을 두어야 할 지역이라는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당시 한국문학에서는 상하이를 자유로운 광명의 도시, 평화의 이상향이라는 이미지로 포착하면서 조선의 청년들이 모여 민족의 독립과 일본에 대한 저항을 꿈꾸는 ‘지사의 거리’로 인식하고자 하였다. 1930년대 중반 이후가 되면 한국 문학작품은 상하이의 조선인들의 비참한 상황, 마약밀매와 매춘을 통해 생활하는 타락의 모습을 묘사하는 경우가 많았다. 한편, 중일전쟁 이후 태평양전쟁이 일어나는 1940년대가 되면 상해의 조선인거류지가 일본인 밀집지인 홍커우로 집중되면서 상하이는 주로 일본에 대한 저항과 독립운동의 상징적 공간에서 제국 일본에 적극적으로 협력하며 ‘내선일체’의 상징적 공간으로 변질해 간다. 이러한 경향은 한국문학에도 반영되어, 주요한의 일본어시에 잘 나타나 있듯이 조계지 상하이가 ‘내선일체’나 ‘대동아공영권’ 건설, 나아가 국책을 선전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소환되어 묘사되기도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comprised of a comprehensive analysis of how Shanghai was perceived and portrayed in Japanese books and in Korean and Japanese literature by Korean writers published on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Japanese books and magazines published on the Korean Peninsula primarily concentrated on life in Shanghai in the 1930s, particularly when the Sino-Japanese War broke out there. Japanese magazines published many articles about the trends of the war and the international situation surrounding it. Articles on Shanghai’s culture also stood out, as during this period they provided a negative picture of a fallen city rather than a free metropolis. On the other hand, in 1919, a short time after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in Joseon, Koreans established the Shanghai Provisional Government, so one Japanese text identified Shanghai as the metaphorical hq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t the time, however, Korean literature attempted to portray Shanghai as a free city which embodied the ideal of peace, and to recognize the youth of Joseon as an embodiment of hope for the future that dreamed of national independence and resistance to Japan. Meanwhile, after the Sino-Japanese War, when the Pacific War broke out, the Joseon colony in Shanghai was concentrated in Hongkou, a Japanese cluster. At this time, Shanghai was shifting from being a symbolic space of resistance to and independence from Japan to being a symbolic space that actively cooperated with Imperial Japan. This tendency was reflected in Korean literature, in which Shanghai was increasingly invoked to promote the construction of the Greater East Asian Community and to bolster the interests of Japan.

목차

Ⅰ. 서론
Ⅱ. 한반도의 일본어 문헌·잡지와 조계지 상하이
Ⅲ. 일제강점기 한국문학 속의 ‘조계지 상하이’
Ⅳ. 1940년 전후 한반도의 일본어문학 속의 조계지 상하이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병호(Jung, Byeong-Ho). (2020).일제강점기 한반도의 이중언어문학과 일본어 문헌으로 보는 조계지 상해 인식. 일본연구, 33 , 183-211

MLA

정병호(Jung, Byeong-Ho). "일제강점기 한반도의 이중언어문학과 일본어 문헌으로 보는 조계지 상해 인식." 일본연구, 33.(2020): 183-2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