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낙관적 신정론의 의미와 한계

이용수 381

영문명
The Meaning and Limitation of the Optimistic Theodicy
발행기관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
저자명
허찬욱(Chan-Wook HEO)
간행물 정보
『가톨릭사상』제59호, 1~3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유일신 체계를 기반으로 하는 종교들은 악의 기원을 설명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선(善)한 신이 창조한 세계에서 왜 악(惡)이 존재하는가, 신은 왜 악을 허용하는가라는 질문은 형이상학적인 질문을 넘어, 신앙인의 실존적인 문제로 인식된다. 본고는 악의 문제를 해명하려는 여러 이론들 중, 아우구스티누스와 라이프니츠의 신정론을 다루었다. 본고는 이 두 사상가가 기본적으로 낙관적인 세계관을 기반으로 신정론을 구상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이를 낙관적 신정론이라 규정하였다.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us)는 자신의 신정론을 ‘창조된 모든 존재는 선하다’는 명제에서 시작한다. 아우구스티누스에 따르면, 존재는 곧 선이며, 모든 존재자는 존재하는 한 선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악은 그 자체로 실체가 없으며, 악은 단지 선의 결핍(privatio boni)일 뿐이다. 라이프니츠(Leibniz)의 신정론은 ‘가능한 모든 세계 중에서 가장 좋은 세계’라는 개념으로 요약된다. 신은 모든 가능한 세계들을 검토한 후에, 그 중에서 가장 최선의 세계를 존재하게 하였다. 세계 내에서 악의 존재 자체가 부정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악이 있는 이 세계가 최선의 세계라면, 아무도 신에게 책임을 물을 수 없다. 아우구스티누스가 악의 존재를 부정하는 입장을 취하는데 비해, 라이프니츠는 악을 전체 세계 내에서 필요한 요소로 해석하고 있다. 낙관적 신정론은 악의 존재론적 구조에 대해서는 일관성 있는 대답을 하는 것처럼 보이나, 악으로 고통받는 구체적인 인간에게는 어떠한 해답도 내어놓지 못하고 있다. 고통받는 인간에게 필요한 것은 악에 대한 존재론적 해명이 아니라 , 위로이고 고통의 완화이다. 폴 리쾨르(Paul Ricoeur)가 지적한바 대로, 고통받는 인간을 위해 던져야 할 질문은 악의 기원에 대한 질문이 아니라, ‘악과 대항하여 무엇을 행할까’라는 질문이다.

영문 초록

Monotheistic religions have tried to explain the existence and origin of evil. The questions, Why did God create evil? Why does God allow evil to exist?, are considered not only as ontological problems but also as existential problems. This study examines the theodicy by Augustin and Leibniz among many different types of theories to try and explain the problem of evil. Focusing on this idea, these two thinkers devised theodicy based on an optimistic view of the world, the study defined their theodicy as optimistic theodicy. Augustin begins his theodicy with a proposition that every created being is good. According to him, being is good, and all beings cannot help being good as long as they exist. Evil has no substance in itself and is just the absence of good(privatio boni). Leibniz s theodicy is summarized in the concept of the best of all possible worlds. God has the idea of infinitely many universes. God surveyed the infinitely many possible worlds and determined which was best. The existing world is the best world that God could have created. In his theodicy, the presence of evil in the world is not denied. No one can hold God responsible for the presence of evil if the world containing evil is the best one. While Augustin took the position of denying the existence of evil, Leibniz interpreted it as one of the elements needed in the entire world. Optimistic theodicy seems to provide consistent answers about the ontological structure of evil, but it offers no answers to the people in pain due to evil. Suffering people need consolation and mitigation of pain rather than the theoretical explanation of the ontological structure of evil. As Paul Ricoeur proposed, human beings should ask about what to do against evil rather than about where evil comes from.

목차

들어가는 말
Ⅰ. 아우구스티누스의 신정론
Ⅱ. 라이프니츠의 신정론
Ⅲ. 낙관적 신정론의 한계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찬욱(Chan-Wook HEO). (2019).낙관적 신정론의 의미와 한계. 가톨릭사상, (59), 1-31

MLA

허찬욱(Chan-Wook HEO). "낙관적 신정론의 의미와 한계." 가톨릭사상, .59(2019): 1-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