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구려의 道敎와 『老子道德經』 수용

이용수 166

영문명
Acceptance of Goguryeo s Taoism and 『Laotzu Taoteching』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박승범(Park Seung-Bum)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61輯, 73~9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道敎와 『老子道德經』의 개요가 高句麗에 전해진 것은 榮留王 때이다. 고구려는 이미 五斗米敎가 성행하였고, ‘도교적’ 문화전통이 있었다. 고구려에 전달된 도교는 노자의 무위정치철학이었다. 정변을 일으킨 淵蓋蘇文은 권력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교의 수입에 적극적이었다. 유교와 불교 세력을 견제하여 사상적 균형을 도모하기 위한 수단이었다. 노자의 사상보다는 養生術이나 方術 등 주술적 성격의 도교에 주목하였기 때문이다. 이 때 들어온 『노자도덕경』은 王弼의 주석본이었다. 그러나 고구려 사회에는 이미 군사전문가들이 사용한 『노자도덕경』이 있었다. 이 시기의 『노자도덕경』은 왕필본이나 河上公本이 아니라, 병법서로서 주석된 것이다. 문화교류는 상대에 대한 이해와 자국의 문화적 성장, 이를 통한 국가의 발전을 가능하게 한다. 그런 의미에서 淵蓋蘇文의 도교 수용은 결과적으로 실패하였다. 자국의 문화적 성장욕구에서 비롯되지 못하고 정통성이 없는 정권 안정의 수단으로서만 도교를 받아들였기 때문이었다.

영문 초록

Taoism and the outline of 『Laotzu Taoteching』 came to Goguryeo during the time of King Yeongnyu. Goguryeo was already prevalent in WudoumiDao and had a “Taoist” cultural tradition. Taoism passed on to Goguryeo was Lao-tzu s political philosophy. Yeon Gaesomun who effected a coup d état incomed Taoist as a means of securing legitimacy of power. It was a means to promote ideological balance or mutual check by checking Confucianism and Buddhist forces. This is because he focused on Taoism of magical character such as Macrobiotic Hygiene(養生術) or fangshu(方術) rather than Lao Tzu s idea. At this time, 『Laotzu Taoteching』 was the Wang Pi(王弼) version. However, in Goguryeo society, there was already the 『Laotzu Tao te ching』 used by military experts. At this time, 『Laotzu Taoteching』 was annotated as a tactical book, not as the Wang Pi(王弼) version or the Ho-shang Kung(河上公) version. Cultural exchange enables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 through understanding of each other, cultural growth of the country. In that sense, Yeon Gaesomun s acceptance of Taoism eventually failed. Taoism was accepted only as a means of stabilizing the regime lacking legitimacy, which did not originate from its own cultural growth desires.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고구려의 ‘도교적’ 문화전통과 五斗米敎
Ⅲ. 고구려의 도교 수용과정과 『노자도덕경』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승범(Park Seung-Bum). (2019).고구려의 道敎와 『老子道德經』 수용. 선사와 고대, 61 , 73-96

MLA

박승범(Park Seung-Bum). "고구려의 道敎와 『老子道德經』 수용." 선사와 고대, 61.(2019): 73-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