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6세기 중반 신라 丹陽 赤城의 景觀

이용수 180

영문명
Landscape of Danyang Jeokseong Fortress of Silla Dynasty in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백종오(Baek Jong-Oh)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61輯, 5~2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고는 단양 적성의 현황과 조사 성과를 토대로 6세기 중반 적성은 어떠한 경관을 가지고 있었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이는 그 동안 막연히 ‘赤城(碑)=新羅(6世紀)=石築山城’이라는 공식이 과연 합당한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일반적으로 한반도의 중부지역인 임진강에서 한강과 금강, 그리고 소백산맥 일대에 분포한 신라 석축산성의 대부분은 6세기 중반에서 7세기 중반에 쌓은 성들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문헌기록에 근거한 산성의 위치 비정과 단양 신라 적성비가 가장 큰 역할을 하였다. 그 중심에 報恩 三年山城과 丹陽 赤城이 있다. 이와 관련해 明活山城 作城碑(551년)와 南山新城碑(591년)가 참고된다. 이들 축성비는 토축산성에서 석축산성으로의 변화 시점에서 석축산성의 유지 관리에 목적을 두고 세워졌다는 점에서 무엇보다도 큰 의미가 있다. 이를 통해 명활산성 작성비와 남산신성비가 세워지는 6세기 중후반 들어 경주 분지를 둘러싸고 명활산성 석축구간 신축과 남산신성 신축, 서형산성 수·개축 등 경주의 동쪽과 남쪽, 서쪽 등에 석축산성이 축조되면서 왕경 방어체계가 완성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또 이로보아 지방 거점성의 石築化는 7세기 이후, 석축산성은 7세기 중반 이후에나 가능하지 않았을까 한다. 그리고 단양 적성의 최근 시굴 결과, 토축 성벽이 일부 확인되었고 육안상으로도 토루의 흔적이 관찰되고 있다. 초축 당시에는 토축산성일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현재의 석축산성은 7세기 중반에 이루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이를 반증하듯 보은 삼년산성의 경우, 남벽 내측구간 2개 지점에서 판축토루가 발굴된 바 있고 옥천 이성산성도 서벽부 판축토루와 외벽의 외면만 석축으로 개축(토심석축)한 사례가 있다. 물론 강릉 강문동 토성, 양산 순지리토성 등도 그 예에 속한다. 따라서 6세기 중반의 단양 적성은 토축산성의 전경과 함께 동벽부에 인접하며 죽령과 마주한 적성비를 연상할 수 있게 되었다. 향후 신라 토축산성 및 석축산성의 5세기 후반에서 7세기 중반에 걸친 축성방식에 대한 계보적인 정리가 필요하며 이에 대한 연구가 심층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landscapes of Jeokseong Fortress in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based on the current status and investigation results of Danyang Jeokseong Fortress. It was started from the suspicion whether the proposition, “Jeokseong(monument)=Silla Dynasty (6th century)=Stone-piled Fortress” is rational. In general, most of the stone-piled fortresses in Silla Dynasty scattered over Imjin River, Han River, and the Sobaek mountains were known as a fortress built in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to the middle of the 7th century. It was mainly because of the undefined location of the fortresses based on the records in literature and Danyang Jeokseong Stone Stele of the Silla Dynasty. The representative examples of such fortress were Samnyeon Fortress in Boeun and Jeokseong Fortress in Danyang. First, this study studied Jakseongbi(551 A.D) in Myeonghwal Fortress and Namsan Sinseongbi(591 A.D) for reference. These monuments have the significance in that they were built in the transition period changing from earthen fortress to stone-piled fortress, with the purpose of maintenance and repair of stone-piled fortresses. Based on that, it is assumed that the defense system of a royal castle was completed when stone-piled fortresses were built in the east, south, and west of Gyeongju surrounding Gyeongju Basin in the middle and late period of the 6th century when Jakseongbi in Myeonghwal Fortress and Namsan Sinseongbi were built. It is also assumed that local key fortresses could have been built with stones after the 7th century and stone-piled fortresses have been built after the mid of 7th century. As for the excavation research of Danyang Jeokseong Fortress, parts of the earthen wall were identified and we could see the traces of an earthen barrier. It was highly likely that they were initially built as an earthen fortress and they were built as a stone-piled fortress after the mid of 7th century. As if to disprove it, there found traces of earthen-piled barriers in two spots of the inner part of the south wall of Samnyeon Fortress. Other cases include earthen-piled barriers of the west wall of Yiseong Fortress in Okcheon, partial remodeling of the outer surface of an earthen wall to stone walls, and the Gangmundong earthen fortress in Gangneung. Therefore, Jeokseong Fortress in Danyang in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reminded us of Jeokseong Stone Stele facing Jukryeong, adjacent to the east earthen wall casting the landscape of earthen fortress. It is necessary to work on summarizing the lineage of building methods of the earth-piled and stone-piled fortress of the late 5th century to the 7th century in Silla Dynasty. It is required to do in-depth studies on those issues. As for the earth-piled and stone-piled fortresses built in the times when the Silla Dynasty expanded to the basin of Han River, it is required to keep finding the prototype of the original fortress wall built ahead of current extended and reinforced walls.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丹陽 赤城의 現況
Ⅲ. 6세기 중반 丹陽 赤城의 景觀
Ⅳ.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종오(Baek Jong-Oh). (2019).6세기 중반 신라 丹陽 赤城의 景觀. 선사와 고대, 61 , 5-27

MLA

백종오(Baek Jong-Oh). "6세기 중반 신라 丹陽 赤城의 景觀." 선사와 고대, 61.(2019): 5-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