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임진왜란 시기 조선의 수군정책과 이순신의 수군 운용

이용수 1077

영문명
The Naval Policy of Joseon and Yi Sun-sin s Naval Operations during the Imjin War
발행기관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저자명
제장명(Je, Jang-myeong)
간행물 정보
『이순신연구논총』제31호, 9~62쪽, 전체 5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9,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금까지 임진왜란 수군사 연구는 이순신의 판단과 능력에 의존하여 수군이 성과를 거두었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인 시각이었다. 그러나 사실상 한 나라의 무력단체인 수군을 운용하는 것은 조정의 수군정책에 따라 운용되었다. 본고에서는 임진왜란 중 조선의 수군정책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살펴보고 이라한 조정의 방침에 대해 이순신은 어떻게 반응하면서 수군을 운용했는지 알아보았다. 임진왜란 초기 남쪽의 수사들은 나름의 대적 수군활동을 전개하여 성과를 보았다. 조선 조정에서도 수시로 공문을 시달하여 행동지침을 주었다. 그리하여 이순신의 주도하에 임진왜란 초기 해전에서 4차례의 출전으로 전승을 거두어 해상에서의 일본군의 보급지원을 철저히 차단하는 데 성공하였다. 초기의 불리했던 전황은 명나라 군의 참전에 의해 평양성을 탈환하면서 조선에 유리하게 전개되었다. 조정에서는 일본군이 남하하는 것을 기회로 수군으로 하여금 해상 퇴로를 차단하여 복수하도록 지사하였다. 이에 따라 이순신이 지휘한 조선 수군은 부산 쪽으로의 진출을 시도하였지만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1593년 9월부터 삼도수군이 한산도에 주둔한 가운데 일본군의 견내량 침입을 막는 형태로 수군이 운용되었다. 이 시기 이순신은 전력증강 계획을 세워 추진해 나갔지만, 1593년 하반가부터 시작된 흉년과 전염병으로 수군병력의 손실이 극심해져 계획 달성이 차질을 빚게 되었다. 강화교섭시기 내내 조선은 수군을 거제도 쪽에 진출시키려고 했지만 사정이 여의지 않아서 모든 방책들이 무산되었다. 일본군들이 강화 교섭 시기에 철수를 신속하게 단행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어려운 난관에도 이순신은 나름의 수군전력 재정비를 위한 노력을 힘겹게 추진해 나갔다. 결국 강화교섭은 결렬됨으로써 일본의 재침에 대비하여 여러 가지 대책을 강구하였다. 먼저 수군진에 대한 통폐합을 단행하였다. 거북선을 많이 만들도록 하였다. 수군병력을 확충하기 위해 천민들도 수군에 전속시키도록 하였다. 일본군의 전술이 야간 기습작전임을 알고 이에 대비하도록 하였다. 한편으로 조선 수군을 거제도에 전진 배치하고자 했지만, 수군 병력의 부족으로 이루어질 수 없었다. 결국 강화교섭 시기 초반에 입은 자연재해로 인한 수군 병력의 손실은 이후의 수군 운용의 발목을 잡는 근본 요인이 되었으며, 이러한 상황은 정유재란이 벌어질 때까지도 복원되지 못했다. 이는 당시 조선 조정과 수군이 처한 한계였다.

영문 초록

Most of the studies on the naval history of the Imjin War have shown that the navy made achievements thanks primarily to Yi Sun-sin s judgement and ability. In fact, however, the operations of the navy, the country s military forces were employed in accordance with the naval policy of the government. This paper examines how Joseon naval policy was implemented during the Imjin War and how Yi Sun-sin coped with the government s policy while he was managing the naval forces. In the early years of the Imjin War, the division commanders carried out their own counter attacks against Japanese army and got results. Joseon government drew up guidelines for naval activities and frequently sent official documents. Thus, the Joseon Navy had successive victories in the early four naval battles under the leadership of Yi Sun-sin. As a result, Joseon was able to successfully cut the supply line of Japanese army at sea. The early unfavorable war situation developed in favor of Joseon by recapturing Pyongyang fortress with the participation of the Ming army. The government order the navy to block the retreat of Japanese army on the sea when they moved to the south and take revenge on them. Thus, Yi Sun-sin and Joseon Navy attempted to advance toward Busan but did not achieve great success. The naval troops of three provinces were stationed in Hansando in September 1592 where they hindered the Japanese army from invading Gyeonnaeryang since. During this period, Yi Sun-sin set up a buildup plan to increase the military strength. The navy, however, suffered severe losses due to a poor harvest and infectious diseases that began in the second half of 1593 so the plan was not able to be successfully achieved. The government tried to advance the navy to Geojedo throughout the peace talks but all the measures foundered on various circumstances. Above all things, the Japanese troops did not swiftly withdraw during the peace talks. Despite the difficulties, Yi Sun-sin struggled to reorganize the naval forces. In the end, the peace talks broke down, and vanous measures were taken to prepare for the reinvasion of Japan. First, the consolidation of the naval camps was carried out. A lot of the Turtle Ships were built. In order to reinforce the navy, the lowly slaves were assigned to the navy. Moreover, the navy recognized that the Japanese military tactics were nighttime hit-and-run raids so they took steps to prepare against Japanese attacks. Meanwhile, the government tried to forward-deploy the Joseon Navy to Geojedo, but it could not be done due to a lack of naval troops. In the end, the lack of naval troops caused by natural disasters during the early peace talks was an underlying cause dragging naval operation down. It was not restored even until Jeongyoojaeran(the second invasion) broke out. That was the limitation of J oseon government and navy at that time.

목차

I. 머리말
II. 임진왜란 초기 수군정책과 수군 운용
III. 강화교섭 시기 수군정책과 수군 운용
IV.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제장명(Je, Jang-myeong). (2019).임진왜란 시기 조선의 수군정책과 이순신의 수군 운용. 이순신연구논총, (31), 9-62

MLA

제장명(Je, Jang-myeong). "임진왜란 시기 조선의 수군정책과 이순신의 수군 운용." 이순신연구논총, .31(2019): 9-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