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성 문암리 유적 경작유구의 재검토

이용수 467

영문명
A Review of the Neolithic Fields in Munamri-ri at Goseong
발행기관
한국신석기학회
저자명
소상영(So, Sang-Young)
간행물 정보
『한국신석기연구』제 38호, 29~43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성 문암리 유적에서 이랑과 고랑을 갖춘 신석기시대 경작유구(하층밭)이 조사되었다. 그러나 신석기시대 중기 주거지와 하층밭의 중복양상, 상·하층밭의 층위관계, 자연과학 분석 결과 등으로 볼 때 이 유구가 신석기시대 중기에 사용되었을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유구의 토층관계와 자연과학분석결과는 하층밭이 역사시대 이후의 경작층이거나 상층밭의 하단부일 가능성을 높게 시사하고 있다. 물론 하층밭이 신석기시대에 조성되었을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하지만 치밀한 분석과 연구를 통한 검증 없이 최고, 최초라는 이름아래 무비판적으로 수용되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In 2012, Neolithic fields were excavated in Munam-ri at Goseong. Two layers of fields were excavated from the ruins, of which the upper layer was reported as Joseon Dynasty and the lower layer was reported as Neolithic. Neolithic fields were first excavated not only in Korean Peninsula but also in East Asia. However, it is unlikely that it was used during the Neolithic period based on the overlapping patterns of the settlements and the lower field cultivation layer, the level relationship, and the results of natural science analysis. Rather, it suggests that the field is likely to be a cultivated layer after the historic period or a lower part of the upper field cultivation layer. Of course, this field may have been created during the Neolithic period. But it should not be accepted uncritically without careful analysis and research.

목차

Ⅰ. 머리말
Ⅱ. 경작유구 발굴조사 개요
Ⅲ. 경작유구의 재검토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소상영(So, Sang-Young). (2019).고성 문암리 유적 경작유구의 재검토. 한국신석기연구, (38), 29-43

MLA

소상영(So, Sang-Young). "고성 문암리 유적 경작유구의 재검토." 한국신석기연구, .38(2019): 29-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