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연대도 패총 나지구의 패류 채집 양상에 관한 연구

이용수 208

영문명
Shellfish Gathering Patterns of Na Area, Yeondae-do Shell Midden
발행기관
한국신석기학회
저자명
안덕임(Deogim An)
간행물 정보
『한국신석기연구』제 38호, 75~10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연대도 패총 나지구의 B피트와 G10피트에서 채집된 패각층 시료를 바탕으로 연대도 지역 사람들의 생업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을 패류의 채집 양상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신석기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형성된 나지구의 패각층 조성은 층위, 구역별로 고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B피트와 G10피트의 신석기시대 주요 패각층은 대략 50~60%의 비교적 높은 패류함량을 보여 패각층 퇴적 속도가 빠르고 패류채집이 활발하였음을 알 수 있다. G10피트의 고려시대 층도 65% 가량의 높은 패류 함량을 보였다. 패각층을 구성하는 식용패류는 부족류 7종, 복족류 16종 등 총 23종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패류는 대부분 조간대의 암초에 서식하는 종들로서 유적 인근 해안가에서 패류채집이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시료에서 굴과 홍합 두 패류의 합이 식용패류의 90% 이상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여 패류 채집이 굴과 홍합에 집중된 양상을 보여주었다. 기타 암초성 패류는 주요 채집 대상은 아니었으며 굴과 홍합 채집시 부수적으로 채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패류 채집은 주요 패류인 굴과 홍합의 식용 가능 시기인 가을에서 봄 사이에 이루어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통일신라, 고려시대에 이르러 바지락, 전복, 소라 등 채집을 위해 좀 더 노력과 채집기술이 필요한 패류의 채집이 증가하는 변화가 있었다. 연대도 패총의 주된 채집종인 굴의 크기분포를 살펴보면 신석기시대 전반에 걸쳐 약간의 크기변화는 있으나 급격한 크기 감소는 보이지 않았다. 이로 미루어 당시 굴의 서식환경이 안정적이며 크기 감소를 가져올 만큼 채집 강도가 크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시대에는 신석기시대에 비하여 약간의 크기 감소가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examined the shellfish gathering patterns of the Yeondae-do people, which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ir subsistence economy, based on the shell layer samples collected from B pit and G10 pit of Na area in the Yeondae-do Shell Midden, Tongyeong-si, Korea. The composition of the shell midden layers was found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layers and areas. The major Neolithic shell layers of B pit and G10 pit showed relatively high shellfish contents of around 50~60%, revealing that the rate at which shell layer decomposed was generally fast, and that shellfish were gathered actively. The Goryeo Period layers of G10 pit also showed high shellfish contents of about 65%. A total of 23 edible shellfish species, including 7 bivalves and 16 gastropoda, were identified from the shell midden layers. These shellfish species live mostly on rocks in the intertidal areas, suggesting that shellfish gathering was carried out on the reef coast near the site during low tides. The combined proportion of oysters(Crassostrea gigas) and mussels(Mytilus coruscus) was found to take up more than 90% of edible species in the majority of the midden samples, indicating a concentrated gathering of the two shell species. Other shells living on rocks are presumed to have been collected subsidiarily when collecting oysters and mussels. Gathering of shellfish in Yeondae-do seems to have occurred between autumn and spring, when the two mainly gathered shell species, oysters and mussels, are edible. By Unified Shilla and Goryeo Periods, there was an increase in gathering of shell species that required more effort and advanced techniques to collect, such as short-necked clams(Ruditapes philippinarum), abalones (Nordotis discus discus), turban shells(Batillus cornutus), and others. An examination of the size distribution of oysters, the main species composing the Yeondae-do shell midden, revealed no distinctive reduction in their size during the entire Neolithic Period. Therefore, it can be assumed that their inhabiting environment was stable throughout the Neolithic Period, and that the oyster gathering was not intensive enough to affect their size. However, a slight decrease in size was observed in the oyster shells from the Goryeo Period compared to those of the Neolithic Period.

목차

Ⅰ. 머리말
Ⅱ. 연대도 패총 나지구의 패각층 분석
Ⅲ. 고찰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덕임(Deogim An). (2019).연대도 패총 나지구의 패류 채집 양상에 관한 연구. 한국신석기연구, (38), 75-103

MLA

안덕임(Deogim An). "연대도 패총 나지구의 패류 채집 양상에 관한 연구." 한국신석기연구, .38(2019): 75-1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