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만경강유역 청동기시대 전기·중기 취락 특징과 분포양상

이용수 147

영문명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Settlements in Mangyeong River Basin in Early and Middle Bronze Ages
발행기관
호서고고학회
저자명
천선행(Cheon, Seonhaeng)
간행물 정보
『호서고고학』44집, 54~81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0.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청동기시대 전기-중기 취락의 분포양상을 통해 만경강유역 청동기시대 문화의 특징을 검토한 것이다. 청동기시대 전기에는 금강유역 가락동유형이 파급되어 만경강유역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지역 내 변형이 발생하고, 중기의 송국리문화 역시 금강유역으로부터 유입되어 만경강유역을 통해 전북 각지로 확산된다. 다만 송국리문화의 경우, 기존 견해와 달리 금강유역에서 멀어질수록 평면 원형에 내주공식 주거형태로 수렴되는 특징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만경강유역의 영향이 미치는 주변부, 즉 전주천을 따라 연결되는 임실지역과 서부평야가 끝나는 고창 선운산일대에서 섬진강유역 및 낙동강유역 송국리형문화와의 문화적 경계를 형성한다고 보았다. 아울러 전기문화가 개별 유적 1개소 내지 2개소가 일정거리를 두며 점재하 는 데 비해, 중기가 되면서 대형취락을 중심으로 중소형취락이 배치되는 취락군을 형성하고 취락군 간에 일정한 공간적 거리를 유지하며 전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청동기시대 전기-중기 동안 만경강유역의 특징을 두 가지로 축약할 수 있다. 첫째 만경강유역이 평야와 산지를 잇는 지리적 교통로이자 문화의 결절지라는 점이다. 만경강유역의 자연·지리적 여건은 가경지 및 거주지가 제한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청동기시대중기 취락 분포양상이 이후 시기와 상당부분 겹친다. 따라서 둘째 만경강유역 청동기시대 문화는 이후 초기철기시대, 원삼국시대 취락의 기저문화라는 특징을 갖는다고 보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Mangyeong river basin in the Bronze Age by analysing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villages in the Early- and Middle Bronze Age. In the Early Bronze Age, the Garakdong type originated from the Geum river basin spread out to take root in the Mangyeong river basin, bringing changes to the area. Similarly, in the Middle Bronze Age, the Songgungni-type culture that also emerged in the Geum river basin spread to various parts of Jeollabuk-do through the Mangyeong river basin. Contrary to previous beliefs,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Songgungni-type culture gradually converged on roundhouses as it got farther from the Geum river basin. It was also identified that the region adjacent to the Mangyeong river basin–including Imsil, an area along the Jeonju Stream, and another area surrounding Mount Seonunsan in Gochang, the endpoint of the Western Plain–served as a cultural border with the Songgungni-type culture from the Seomjin and Nakdong river basins. And while the individual settlement from Early Bronze Age culture kept some distance from one another, sometimes found in pairs, it was found that the Middle Bronze Age formed a group of settlement where medium and smal size villages were placed around large villages, each group situated a certain distance away from the othe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ngyeong river basin in the Early- and Middle-Bronze Age can be summarised as two. First, the Mangyeong river basin was both a thoroughfare that connected plains and mountains and a cultural node. The environmental and geographical conditions of the Mangyeong river basin resulted in limited arable and habitable land, and the distribution of villages in the Middle Bronze Age shows many similarities to that in the following ages. Therefore, secondly, the Bronze Age culture of the Mangyeong river basin is characterised by having provided a cultural foundation for the villages in the following Early Iron Age and Proto-Three Kingdoms Period.

목차

Ⅰ. 머리말
Ⅱ. 만경강유역 신석기시대 후·말기~청동기시대 중기 취락 현황
Ⅲ. 청동기시대 전기 취락의 형성과 특징
1. 전기문화의 형성과 정체성
2. 만경강유역 전기 취락 분포와 규모
Ⅳ. 중기 취락의 분포와 특징
1. 만경강유역 송국리형주거지 형태와 의미
2. 만경강유역 중기 취락 분포양상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천선행(Cheon, Seonhaeng). (2019).만경강유역 청동기시대 전기·중기 취락 특징과 분포양상. 호서고고학, 44 , 54-81

MLA

천선행(Cheon, Seonhaeng). "만경강유역 청동기시대 전기·중기 취락 특징과 분포양상." 호서고고학, 44.(2019): 54-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