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러시아의 극동지역 인식과 아르세니예프의 탐사

이용수 96

영문명
Russia’s Awareness of Far East and Exploration of Arseniev: Based on Dersu Uzala
발행기관
충북대학교 러시아 알타이지역 연구소
저자명
문준일(Moon, Joonil)
간행물 정보
『러시아학』러시아학 제19호, 71~10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8.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러시아가 자신의 극동지방에 대한 연구를 시작한지는 역사적으로 최근의 일이다. 우랄산맥을 넘어 16세기 말부터 동진을 시작한 러시아는 17세기 중반에 이미 태평양에 도착하였다. 그 중에서도 1860년 베이징 조약에 의해 획득한 연해주는 그들에게 완전한 미지의 땅이었고 그들에게 남은 것은 그 지역의 개발이었다. 연해주에 1859년부터 1882년 사이에 95개의 정착지가 건설되었고, 1905년에는 시베리아 횡단철도가 블라 디보스토크에서 첼랴빈스크까지 개통되었다. 이를 통해 러시아인들이 이주해왔고, 한국, 중국, 일본에서 건너 온 이민자들도 상당했다. 하지만 러시아인들이 시베리아에 발을 들여놓은 16세기 말엽에도 시베리아는 소위 말하는 ‘신세계’는 아니었다. 그 이전에도 시베리아에는 30여 민족이 25만 명 가량 살고 있었다. 블라디미르 아르세니예프는 군인으로서 많은 탐사 여행을 통하여 연해주의 지리와 자연 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는 물론 극동지역 개발을 위한 러시아의 이해에 따른 것이었지만, 그는 러시아 지도의 ‘공백’들을 메꾸어 가는 과업을 수행하면서 그 지역 소수민족에 대한 매우 소중한 연구들을 해 나간다. 아르세니예프는 자신의 탐사여행의 결과물을 보고서 뿐만이 아니라 문학의 형태로도 출간하였다. 그 중 󰡔데르수 우잘라󰡕는 1906년과 1907년의 탐사 여행을 함께 한 동명의 나나이족 안내자를 주인공으로 한 작품으로 아르세니예프가 세계적으로 알려지게 된 계기가 되었다. 데르수 우잘라 에는 러시아의 대표자인 아르세니예프가 극동을 바라보는 관점들 그리고 식민지를 개척하는 20세기 초반 연해주의 모순들이 잘 표현되어있다. 또한 연해주 지역 소수민족들의 자연 속 삶의 원칙과 세계관을 문학적 언어로 잘 표현되어 있다. 데르수 우잘라 가 바로 근대화 과정 연해주를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고전이 되는 이유이다.

영문 초록

Dersu Uzala is a very extraordinary work of famous Russian writer, Arseniev. In this novel, we can see the truth in terms of the genre and also in terms of the content of the work. A lyrical and delicate portrayal of the nature of Maritime Province,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region s flora, fauna, and geography; the adventure of expeditions which had filled empty spaces on Russian maps, the socio-economic situation of Maritime Province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simple life of ethnic minorities and their customs. All described things were dissolved in one place. The glorious literary figure of ‘Dersu Uzala’, the main character, also we can see the deep affection and understanding of Arseniev s Maritime Province. He is a civilized person who came for geographic exploration to an unknown area under the direction of Russian military authorities. This exploration would be used for regional management and military purposes in Russia in the future and is going to be the basis development which is carried out by Russia. Indeed, in the mid-1920s resources of the Far East, Russia began to develop, and Arseniev was recognized as a “very important expert”. In 1907, before the full-fledged development, Arseniev expressed concern about the change of the Maritime Province. “The pace of colonization in the Maritime Province is quite specific. I thought about the fate of this place.” But his travel with Dersu is gradually growing into a process of understanding Siberian ethnic minorities with recognition of their unique abilities. The viewpoint that sees Siberian minorities with their eyes full of Western confidence turn into a perspective that gradually understands their world view. The inhabitants of Taiga live in harmony with nature in accordance with the laws of nature. Arseniev understands, that in Taiga the human world and the world of nature coexists, the wisdom of Dersu in communion with nature is a result of all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in nature. As Anna Reid says, “Their means of survival, which have been thoroughly adapted to their surroundings, are signs of respect for Siberia and trophies won by fighting Siberia.” And as Kim Cheol-kyun pointed out appropriately, Arseniev sees animism as a vision of the world as a problem of a ‘horizon’, in other words, a way of understanding and reproducing the world. Of course, his exploration of the Maritime Province was a plan to understand and reproduce this area with modern Western ‘horizon’. However, he finds another ‘horizon’ in the indigenous people living with nature and he knows that there is already mythical, meaningfully ‘territorialized’ space before he discovered. However,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se new ‘horizons’ because of Arseniev’s efforts and affection of understanding about ethnic minoritie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러시아의 ‘동양’, 극동지역
Ⅲ. 『데르수 우잘라』와 소수민족의 세계관
Ⅳ.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준일(Moon, Joonil). (2019).러시아의 극동지역 인식과 아르세니예프의 탐사. 러시아학, (19), 71-102

MLA

문준일(Moon, Joonil). "러시아의 극동지역 인식과 아르세니예프의 탐사." 러시아학, .19(2019): 71-1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