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제시기 ‘금강산사진첩’의 금강산 경관 구조화

이용수 420

영문명
Framing of Mt. Geumgang Landscapes in the Mt. Geumgang Photo Albu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발행기관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저자명
김지영(Ji Young Kim)
간행물 정보
『문화역사지리』제31권 제2호, 19~4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8.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근대적 인식체계(episteme)로서 ‘보는 눈’에 주목하고, 일제가 식민지 조선에서 영어와 일어로 병기하여 제작한 금강산사진첩을 대상으로 금강산 경관을 ‘보는 방식’을 살펴본다. 일영(日英) 금강산사진첩은 금강산 경관이 선택 및 구성되고 이미지로 틀지워진 결과물이다. 관광진흥의 목적으로 제작된 일영 금강산사진첩은 금강산의 다양한 경관이 선택되고 배열 및 구성되어 관광객에게 방문해야 할 곳과 루트 등을 제시한다. 또한 촬영자와 편집자의 ‘경관의 틀짓기’ 과정을 통해 금강산 경관에 심미화, 문명화의 장, 지리적 정복(계몽) 등의 시선이 더해졌다. 특히, 금강산 파노라마 사진은 사진가의 시선이 더 높은 곳에서 금강산을 넘어 더 넓은 세계를 지향하고자 했는지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일영 금강산사진첩의 경관과 시선의 정치의 상호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사진첩이 금강산을 식민지 조선이나 일본 제국을 넘어 ‘세계적 명산’으로 위치짓는 시선을 체현했으며, 또한 어떻게 금강산 경관의 틀짓기 기준으로 기능했는지를 조명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a way of seeing” presented in a series of photo albums of Mt. Geumgang with a focus on the “tourist gaze” as the modern episteme of the Japanese empire. The Japanese-English photo albums of Mt. Geumgang demonstrate how the landscapes of Mt. Geumgang were selected, arranged and framed. Compiled for tourism purposes, the photo albums presented “standards” for where and how to visit with a variety of scenic views. In the process of “framing the landscape,” the dimensions of aestheticization, a place of civilization, and geographical conquest(enlightenment) were added to Mt. Geumgang through the gaze of photographers and editors of the photo albums. Specifically, panoramic pictures of Mt. Geumgang show how the gaze of photographers sought a wider view from a higher point and attempted to expand a vision of Mt. Geumgang. By examining the interplay between the landscape and the gaze politics of photo albums, this study illustrates how the photo albums functioned as a standard for framing the landscape of Mt. Geumgang in relation to the “expansion” of the Japanese empire, as well as an optic through which Mt. Geumgang was represented as a ‘world famous mountain’ beyond the colonial Korea or the Japanese empire.

목차

요약
Abstract
1. 들어가며
2. 일영(日英) 금강산사진첩
3. 금강산 경관 분류와 구성
4. 금강산 경관의 틀짓기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영(Ji Young Kim). (2019).일제시기 ‘금강산사진첩’의 금강산 경관 구조화. 문화역사지리, 31 (2), 19-41

MLA

김지영(Ji Young Kim). "일제시기 ‘금강산사진첩’의 금강산 경관 구조화." 문화역사지리, 31.2(2019): 19-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