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관계적권리에서 본 교권(敎權)의 재검토

이용수 244

영문명
Review of Teachers Rights in Consideration of Rights in Relationships
발행기관
대한교육법학회
저자명
하윤수(Ha Yun Su)
간행물 정보
『1. 교육법학연구』제30권 제2호, 185~21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의 연구목적은 교권을 분명히 자리매김하게 하고, 교육당사자간의 관계적권리를 재설정하여 교육당사자간에 선순환적 교육활동이 이루어져 공교육정상화에 이바지함이 목적이다. 그간 교육당사자인 학생과 학부모, 교원의 3주체간 관계적권리의 측면에서 불균형적 상황이 지속됨에 따라 그 피해가 학습자에게 귀결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헌법재판소의 관련 판례(89헌마88, 1992.11.12.)상 학습권과 교육권에 대한 법리를 잘못 이해하여 학습권을 위한 교육권으로 해석하는 오류를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한편으로, 초ㆍ중등교육법 시행령에 있던 교사의 훈육적 차원에서 존치해 왔던 체벌권을 전면금지한 것은 교육적 관점에서 바람직하나 이를 대체할 학생지도권이 불분명하여 교권침해가 급격히 증가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교사의 훈육할 지도권한은 「교육기본법」과 「교원지위법」상 형식적 규정에 지나지 않아 현실적인 학생지도에 거의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 그러한 점에서 교권을 관계적권리 차원에서 법익형평성 등을 고려하여 현행 「교육기본법」과 「교원지위법」상에 분명히 명시할 필요가 있다. 미국과 영국의 입법례에서 시사하는 바를 참고하면 법제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학교교육 정상화는 물론 궁극적으로 공교육 정상화를 위해서는 교육적 당사자인 어느 한쪽만의 권리 또는 의무만으로 법제화되어서는 그 어떤 것도 얻을 수 없다는 사실은 5.31교육개혁 이후 교육주체간 불균형-대립적 관계설정에 따라 발생한 교권추락의 엄중한 현실 속에서 얻은 교훈이다. 지금이라도 관련규정을 손질하여 교육당사자가 함께 공유하고 학교교육의 정상화는 물론이고 공교육 정상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관계적 권리를 재설정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are the stakeholder of the educational consultation. Currently, schools and teachers are required to guarantee rights and legal requirements for students and parents as educational subjects. Teachers, on the other hand, are more emphasized on accountability rather than rights and authority. There are three major errors in the interpretation of these laws. First, 5.31 educational reform changed the concept of learners (students) from subordinate receivers to the educational subjects, and teachers are supporters of students. Educational policies overanalyzed the law and resulting in a totally different interpretation that teachers exist only if students exist. Second, treatment of teachers becomes worse and serious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was increased, we tried to solve the problem by amending “Special Act for Improving Teacher Status” in 2016, however article on teacher’s rights has not been modified. Although “Special Act for Improving Teacher Status” was enacted and amended thirteen times, the infringement on the teachers’ right is still left to a serious level. Finally, in any law, there is litigation parties and the corresponding gains. If students’ rights exist, obligation should be accompanied to the legal equality. In other words, if there is an obligation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there is no authority and right, this means a breakdown of the relationship. That is the related laws are seriously infringed on the concept of justice and equality of the law, and it is unconstitutional since it has exceeded the scope of the law. In this paper, above three points will be thoroughly analyzed and suggest the way to improve the system by reviewing the concept of teachers rights in consideration of rights in relationships.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학교현장의 교권침해 현실태
Ⅲ. 교권의 법적지위와 제문제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윤수(Ha Yun Su). (2018).관계적권리에서 본 교권(敎權)의 재검토. 1. 교육법학연구, 30 (2), 185-210

MLA

하윤수(Ha Yun Su). "관계적권리에서 본 교권(敎權)의 재검토." 1. 교육법학연구, 30.2(2018): 185-2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