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인 안심주택에 관한연구* - 주거안전사고 예방을 중심으로 -

이용수 469

영문명
A Study on the Elderly Safe Housing - Focused on Prevention of Residential Safety Accidents-
발행기관
대한부동산학회
저자명
고영아(KO, Young Ah)홍은표(HONG, Eun-Pyo)
간행물 정보
『대한부동산학회지』제52호, 101~12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개발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소비자원 보고서(2017)에 따르면 우리나라 내 노인안전사고 발생지역의 67.2%는 가정이고, 가정 내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장소는 욕실, 주방, 거실, 침실, 계단 등의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령화가 심화되어 가는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노인을 위한 안심주택의 주거모델에 관한 포괄적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목적은 독거노인들의 주거 및 주거안전사고실태를 분석하고, 주거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노인 안심주택 에 대한 주거모델의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국토교통부의 ‘주거실태조사(2017)’, 보건복지부의 ‘노인실태조사(2017)’ 및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노 인의 지역사회 계속 거주를 위한 장기요양제도 개편 방안(이윤경, 2017)’을 활용한다. 또한 한국소비자원의 ‘고령자 안전사고 심층 분석(2017)’ 및 통계청의 ‘가계 동향조사(2016)’도 분석에 활용한다. 연구결과는 크게 5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주거 공간 내 구조 및 공적 공간 배치의 개선. 둘째, ICT를 활용한 노인주거시스템 구축. 셋째, 건강 수준과 가족구조에 따른 주거의 다양성 확보. 넷째, 세대 공존형 코하우징 모델 개발. 다섯째, 노인층에 대한 주택개조 비용 지원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According to the Korea Consumer Reports (2017), 67.2 percent of the elderly safety accidents in Korea are at home, while the number of safety accidents in the home is in the order of bathrooms, kitchens, living rooms, bedrooms and staircases. Therefore, a comprehensive study on the residential model of safe house for the elderly is needed in the face of the deepening aging population in Korea.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of residential and residential safety accident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present basic data on the old safe house for prevention of housing safety accidents. For the research, the ministry will utilize the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inistry s Residence Survey (2017),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 A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Elderly (2017) and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Plans to Reform the Long-Term Care System for Continuing Elderly Community (Lee Yoon-kyung, 2017). Further, it will use the Korea Consumer Agency s In-depth analysis of safety accidents (2017) and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s Household Trend Survey (2016) in its analysis.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into five main categories. First, improvement in structure and public space layout in residential space. Second, the establishment of a housing system for the elderly using ICT. Third, securing diversity of residence according to health level and family structure. Fourth, development of generation-friendly co-housing model. Fifth, it was found that more support for housing refurbishment was needed for the elderly.

목차

Ⅰ. 서론
Ⅱ. 노인 안심주택의 일반적 고찰
1. 노인의 개념과 특성
2. 노인의 사회 환경
Ⅲ. 노인의 주거 및 주거안전사고 실태
1. 노인의 주거
2. 노인의 주거안전사고 실태
3. 노인 연령대별 상위5개 품목별 위해 내용 현황
Ⅳ. 노인 안심주택 모델제안 및 개발
1. 주거 공간 내 구조 및 공적 공간 배치
2. ICT를 활용한 노인주거시설의 구축
3. 건강수준과 가족구조에 따른 주거의 다양성 확보
4. 세대 공존형 코하우징(Co housing) 모델 개발
5. 노인을 위한 주택개조 비용 지원 확대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영아(KO, Young Ah)홍은표(HONG, Eun-Pyo). (2019).노인 안심주택에 관한연구* - 주거안전사고 예방을 중심으로 -. 대한부동산학회지, (52), 101-123

MLA

고영아(KO, Young Ah)홍은표(HONG, Eun-Pyo). "노인 안심주택에 관한연구* - 주거안전사고 예방을 중심으로 -." 대한부동산학회지, .52(2019): 101-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