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고대 피리의 연원(淵源)에 관한 소고(小考)

이용수 92

영문명
A Study on the Origin of Ancient Korean Piri: On the Basis of Literature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문주석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45집, 381~400쪽, 전체 -3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8.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피리’는 한자어로 필률(?? · ??)으로 표기된다. 한국 전통악기 분류방법 중에서 겹서(Double reed)를 가진 종적악기(縱笛樂器)로 분류되며, 한국 전통음악 연주시 주선율을 이끌어가는 중심역할을 수행하는 중요한 관악기이다. 본 연구는 고대 중앙아시아에 다양한 모습으로 산재했던 피리의 개념과 종류, 그리고 형태를 파악하고 한국고대 피리가 서역으로부터 어떻게 유입되었는가를 고찰하고자하였다. 또한 피리가 국내의 음악적 상황에 적응하며 수용되어가는 편린들을 문헌자료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피리가 어떻게 국내에 수용되었는가를 파악하기 위하여 피리에 관한 내용이 기술되어있는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고대와 현대의 문헌기록을 중심으로 한국 고대 피리에 관한 명칭, 악기구조, 전파경로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상의 내용을 알기 쉽게 정리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피리’는 ‘필률’를 의미하며, 한자로는 ??, ?? 으로 표기된다. ‘필률’ 이외에 ‘비율(悲?)’, ‘가관(茄管)’ 또는 ‘두관(頭管)’의 악기명칭도 사용되었다. 둘째, 고구려에 유입된 피리는 갈대서와 관대를 가진 종적악기이다. 셋째, 피리는 안국·소륵·구자·고창·서량·연악 등의 실크로드 상의 국가들을 거치면서 직·간접적인 유입경로를 통하여 고구려에 전파되었을 것이다. 그러므로 피리는 서역계 종적관악기이다. 넷째, 고구려에는 관대의 길이를 달리하는 대피리와 소피리가 있으며, 복숭아 껍질을 이용한 도피피리도 고구려의 독자적인 악기로 사용되었다. 다섯째, 문헌기록에 나타나는 필률과 쌍필률이 고구려에도 있다는 기록은 발견할 수 없으나,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함에 조각된 피리 주악상과 현재 강화도에 전승되는 쌍피리 등을 고려하면, 고구려에서도 이 두 가지 악기가 존재하였을 개연성이 충분하다.

영문 초록

‘Piri(Korean Pipe)’ is written as Pillyul in Chinese character. It is categorized into a vertical instrument with Gyeobseo(Double reed) and an important wind instrument which leads the main melody in Korean traditional music plays. In this study, I have not only figured out the concepts and the shapes of different types of Piri, which was widely used over the ancient Central Asia, but also examined how the ancient Korean Piri was introduced from the countries bordering on Western China. In addition, I have mainly examined the relevant literature to ascertain parts of the fact on how the ancient Korean Piri was introduced and the process of its being introduced in accordance with domestic circumstances of music field. Focusing on the ancient and modern literature, I have studied on its names and structures including the channels of its dissemination. The following demystifies the result. 1. ‘Piri’ means ‘Pillyul’ and is written ??, ?? in Chinese character. It was also called ‘Biyul(悲?)’, or ‘Gagwan(茄管)’, or ‘Duguan(頭管)’. 2. The Piri introduced to Goguryeo is a vertical instrument. 3. Piri is conjectured to have been introduced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to Goguryeo by the countries on the Silk Road such as Anguk, Soreuk, Guja, Gochang, Seoryang, Yeonak, etc.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Piri is a vertical wind instrument from the countries bordering on Western China. 4. In Goguryeo, there were Dae-Piri(large Piri) and So-Piri(small Piri) which were different in the length of the instruments, as well as Dopi-Piri, which was made of a peach skin, as a unique instrument of the time. 5. There is no literature proving that Pillyul and Ssang-Pillyul existed in Goguryeo, however, there is high possibility that they existed in the time, considering Piri playing image, carved on Jeokjoham stupa of Great Master Jizeung in Bongam-Sa and Ssang-Piri which has been transmitted in Ganghwa-Do.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선행연구 검토
Ⅲ. 피리의 연원
Ⅳ.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주석. (2010).한국 고대 피리의 연원(淵源)에 관한 소고(小考). 민족문화논총, 45 , 381-400

MLA

문주석. "한국 고대 피리의 연원(淵源)에 관한 소고(小考)." 민족문화논총, 45.(2010): 381-4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