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三國時代 嶺南地方 封土墳의 連接築造에 관한 硏究

이용수 192

영문명
Connection build of the mound tomb of The Three Kingdom Period
발행기관
부산고고학회
저자명
沈 炫 㬚 (Shim Hyouncheol)
간행물 정보
『고고광장』15권, 39~69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삼국시대의 영남지역 봉토분 중에는 복수의 봉분을 수평적으로 덧붙여 축조한 연접분이 많이 확인된다. 이러한 연접분은 뚜렷한 의도와 기획성을 가지며, 그렇지 않은 단순 중복과는 뚜렷하게 구분된다. 연접분은 고분 피장자 상호간의 친연관계를 표현하는 방식의 일종으로 경주와 경산 등 신라문화권을 중심으로 크게 성행하였으며, 가야지역에서는 거의 확인되지 않는 신라 특유의 고분축 조방식임이 확인되었다. 특히, 가장 많은 연접분이 확인되는 경주와 경산지역에서는 일정한 축조원 리와 방식에 따라 연접이 이뤄짐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후축고분 매장주체부의 주축방향에 따라 연접 위치가 결정되며, 주로 북쪽방향으로 연접을 해나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연접분은 연접을 할 때 선축고분의 봉분과 호석 일부의 파괴여부를 기준으로 하여 크게 A, B의 2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A유형은 선축고분의 봉분과 호석을 파괴한 후 연접한 것이며, B유형은 선축고분을 파괴하지 않고 연접한 것이다. 연접유형은 시간에 따라 A유형에서 B유형으로 변화하 고, 중심(경주)지역에서는 이러한 연접방식의 변화가 묘제의 변화(주부곽식→단곽식), 분형의 변화 (타원형→원형)와 대체로 연동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일정한 축조방식과 유형변화를 거치는 연접분은 고총고분 축조기에 활발히 유행하다가 가족묘 개념의 석실묘가 등장하고부터는 사라지기 시작한다. 이는 더 이상 봉분의 연접을 통해서 고분 피장자 상호간의 친연관계를 표현할 필요성이 없어졌기 때문이다. 한편, 2기의 고분이 연접된 소위 표형분 역시 연접방식의 변화에 따라 봉분의 외형이 변화하는 뚜렷한 시간성을 가지며, 기존의 연구에서처럼 연접주축의 방향변화가 시간성을 가진다거나 연접부의 오목한 정도가 양 고분사이의 밀접도를 나타낸다는 뚜렷한 고고학적 근거는 확인되지 않았다.

영문 초록

There are many mound tombs that two mounds are connected horizontally in Youngnam area in Three Kingdom Period. The connected mound tombs that indicate kinship of those buried people are found in the Silla culture area such as Gyeongju and Gyeongsan. As they are not found in Gaya central area, there is no doubt that it is the feature of constructing mound of the Silla. Especially, two mounds are connected by the certain construction process and method in Gyeongju and Gyeongsan area where lots of the connected mound tombs are found. The location is determined by the direction of a latter tomb. Mostly, it is connected northward. It is classified into two types. The most important standard is the destruction of the early constructed mound and the round stone. The connected type changes from A type to B type with time. In Gyengju, this change is linked with the change of the tomb and mound form. Meanwhile, this connected mound tomb is in fashion in the high mound tomb period and begins to disappear with the appearance of the stone chamber tomb of the family tomb.

목차

Ⅰ. 緖論
Ⅱ. 連接의 槪念과 連接墳의 分布
Ⅲ. 連接築造의 原理 및 連接類型
Ⅳ. 連接築造의 變化樣相과 意味
Ⅴ. 連接墳의 築造意義
Ⅵ. 結論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沈 炫 㬚,(Shim Hyouncheol). (2014).三國時代 嶺南地方 封土墳의 連接築造에 관한 硏究. 고고광장, 15 , 39-69

MLA

沈 炫 㬚,(Shim Hyouncheol). "三國時代 嶺南地方 封土墳의 連接築造에 관한 硏究." 고고광장, 15.(2014): 39-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