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原三國時代 中部地域과 嶺南地域의 內陸 交易

이용수 361

영문명
Inland Trade between Korea’s Central Region and Yeongnam Region i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발행기관
부산고고학회
저자명
박경신(Park, Kyoungshin)
간행물 정보
『고고광장』23권, 1~3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중부지역은 삼각형점토대토기 단계부터 楊平과 利川을 경계로 이동지역과 이서지역으로 물질자료 양상이 이원화 된다. 양평 양수리 537-1번지 유적은 양 지역권의 물질자료 요소가 모두 확인되고 있어 점이지 대적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이원화 양상은 원삼국시대의 물질자료 형성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곧, 중부지 역과 영남지역 간 교역로가 다원화될 수 있는 사회적 배경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기원전후 시점부터 馬韓 이해상 교역루트를 장악하면서 늑도 交易圈이 경색되었고, 새로운 내륙교역로 개척에 대한 지역정치체의 수요가 증가하게 되었다. 그 결과 새롭게 등장한 교역로가 中島類型圈과 영남지역 간 中部內陸路線, 중서 부문화권과 영남지역 간 中西部路線이다. 양 지역 간 교역의 매개는 취락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철기생산이었다. 대표적인 교역품이 삽날이었는데 중도유형권으로부터 중부내륙노선을 통해 영남지역으로 파급된다. 삽날은 형태적 차이, 목병의 착장방식, 이부와 인부 길이의 비율을 조합하여 총 5개 형식으로 분류된다. 삽날의 형식변화는 身幅과 耳幅이 감소하여 耳部 간 사이가 깊어지고 耳部가 중앙으로 모이면서 평면형태가 역삼각형→장방형으로 변화한다. 삽날은 북한강 → 한강하류 → 영남 동해안 → 영남 해안 → 낙동강 유역으로 출토 빈도의 중심지가 순차적으로 변화한다. 호서 및 호남지역은 소량의 삽날만이 출토된다. 삽날에는 원삼국시대 각 지역정치체의 동향 과 교역 관계가 투영되어 있다.

영문 초록

In Korea’s Central Region, the material culture aspect is diverted into Leedong region(Mahan culture area) and Leeseo region(Yege culture area) from the stage of the Triangle Clay-Stripe Pottery to the boundary between Yangpyeong and Icheon. The Yangpyeong Yangsu-ri 537 Remains are characterized by a transition zone(TZ) as the material culture elements of both regions are confirmed. This dualism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material culture i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Soon, the trade routes between Korea’s Central Region and Yeongnam region provided a social background for diversification. In particular, Neukdo trading right has been tightened as Ma Han has taken over the maritime trade route from BC 1 to AD 1, and the demand for local political system for the new inland trade route has increased. As a result, the newly emerging trade route is central region route between Jungdo Assemblage area and Yeongnam region, and the central west route between Mahan culture area and Yeongnam region. The medium of trade between the two regions was the production of iron goods centering on villages. A typical trading product was spade blade, which was spread from Jungdo Assemblage area to the Yeongnam region through central region route. The spade blade is classified into 5 types in total by shape differences, the method of attaching the wooden body, and the ratio of the length of both edges(耳部) and edge. In terms of the shape changes in spade blade, the gap between both edges is deepened with a decrease in the width of body and the width of both edges, and as both edges are gathered in the center, the plane shape changes from inverted triangle to rectangle. The center of frequency excavation of spade blade changes from Bukhan River → Han River Downstream → Yeongnam East Coast → Yeongnam Coast → Nakdong River Basin. In Hoseo and Honam areas, only a small number of space blades are excavated. The spade blades reflect the trends of each local political system and trade relations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목차

Ⅰ. 머리말
Ⅱ. 중부지역 원삼국시대 물질자료의 배경
Ⅲ. 원삼국시대 중부 및 영남지역 교역로
1. 교역로 연구사 검토
2. 절충지역의 물질자료 특징
3. 새로운 교역로의 설정
4. 교역로의 역사 및 정치적 의미
Ⅳ. 삽날 교역
1. 사회·경제사적 의미
2. 형식분류 3. 형식별 변화양상
4. 시기별 분포 정형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경신(Park, Kyoungshin). (2018).原三國時代 中部地域과 嶺南地域의 內陸 交易. 고고광장, 23 , 1-31

MLA

박경신(Park, Kyoungshin). "原三國時代 中部地域과 嶺南地域의 內陸 交易." 고고광장, 23.(2018): 1-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