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김득연(金得硏)의 계회(契會) 활동과 김득연(金得硏)의 계회(契會) 활동과

이용수 238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언어문학회
저자명
이승준(Lee, Seongl-jun)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108輯, 127~15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3.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시가사에서 김득연(金得硏, 1555~1637)과 그의 <산중잡곡(山中雜曲)>은 중요한의미를지닌다. 16세기강호시조의도학적전범성(典範性)을계승하며, 17세기시가사의중요모티프인전가(田家)와은자(隱者), 가난(貧) 등의양상 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늙음(嘆老)과 유락(遊樂), 취흥(醉興) 등 전대강호시조의미감과구분되는특징은연구자의이목을집중시키는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시가사의 거시적 구도에서 김득연과 <산중잡곡>은 계승과 변화의 양항으로 다루어졌다. 초기 <산중잡곡>에 대한 논의는 변화의 측면을 주목하였다. <산중잡곡>이 산출된배경으로향촌사족으로서안정된재지적기반과남인(南人)의출사(出 仕)가어려웠던정치적상황, 그리고동문계(同門契)와족계(族契)의풍류(風 流) 등이거론되었다. 그결과<산중잡곡>에는전대의도학적규범성이퇴색되 고, 처사적삶의풍류로안분지족(安分知足)이부각됨으로써16세기강호시조 의 자장(磁場)에서 이탈해가는 작품으로 규정되었다.1) 반면, 김득연의<산중잡곡>을16세기강호시조의계승에서주목하는견해도 제출되었다. 김득연의시조를이루는안빈(安貧), 사시가흥(四時佳興), 왕래풍 류(往來風流) 등은16세기의전형을계승2)하며, 그유락적성향또한감성적 · 감각적 측면이 아닌 성정(性情) 수양을 전제로 형성된 것임을 지적하면서 그의 자연관이 16세기의 전범에서 일탈한 것이 아니라 수기(修己)의 측면에 자리한 것으로 보았다. 선행 연구는 정합성의 문제를 검토하기에 앞서 그 논의의 양상만으로도 <산중잡곡>의시가사적위상을가늠할수있게한다. 시가사에서유래를찾기 어려울만큼다기한 주제적 스펙트럼을 형성하며, 그집합지점으로과도기적 성향을 특정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오늘날 김득연의 <산중잡곡>에 대한 이해는 쟁점적인 연구 경향을 극복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하여도 과언은 아니다. 그러나 <산중잡곡>에 대한 쟁점적인 연구 경향과 달리 김득연의 처사적 기반에대해서는일정정도합의를이루고있다는점은흥미롭다. 향촌사족으로 서 경제적 안정과 계회(契會) 활동이 그것이다. 특히 이 계회 활동이야말로 <산중잡곡>의미감을이해하기위한주요한이론적전제로다루어지고있다.4) 따라서<산중잡곡>에대한쟁점적연구경향을극복하기위한방법으로써김득 연의계회활동에대한검토는반드시수행되어야할지점이라고할수있다. 다만 이와 관련한 선행 연구는 다소 거시적인 측면에서 이루어진 경향이 있다. 재지사족으로서 향촌 사회의 세력기반을 강화하는 과정5)이나, 출사에 얽매이지않는처사적 집단의 문화적행위로써취락적이고, 자족적인흥취가 어우러진 풍류의 현장6) 정도로 이해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기본적으로 17세기예안지역의사회사적시각을전제하고있다는점에서충분히공감할만 하다. 그러나 김득연의 계회 활동, 즉 동문계인낙계회(洛契會)와 족계, 특히 광산김씨성회(光山金氏姓會)를 동일한범주에서이해할 수있을지는조심스 럽다. 또한 이들 집단을 광해군 정권을 향한 정치적 역학 관계나, 조선 전기 향촌사회에광범위하게전개되었던재지사족화의일환으로이해하기위해서 는 선행 검토할 과제들이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theoretical base for trying to analyze “Sanjungjapgok(山中雜曲)” by examining the context of creation of “Sanjungjapgok(山中雜曲)” focusing on Kim Deuk-yeon(金得硏) s Gye(契) gathering. Today, “Sanjungjapgok(山中雜曲)” is considered as a work that reflects the development of siga(詩歌) history in the 16th and 17th century, but has not been able to draw a certain consensus within the dual aspects of succession and change in the prospects of the previous era. Therefore, the understanding of “Sanjungjapgok(山中雜曲)” faces the situation to overcome the problematic prospect of the history of research.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review of the Gye(契) gathering, which has a certain consensus as the basis of the creation of “Sanjungjapgok(山中雜曲)”. If “Sanjungjapgok(山中雜曲)” was enjoyed by the performance of particular group, the orientation of the work would be carried by the character of the group.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xt of the creation of “Sanjungjapgok(山中雜曲)” on the basis of two things. At first, ‘NakGye gathering(洛契會)’ and ‘Gwangsan Kim family’s gathering(光山金氏姓會)’ that belong to Kim Deuk-Yeon were group activities that responded sensitively to the social historical environment of ‘Andong region’ in the 17th century. Second, the two groups show a character that can be distinguished on a certain level. As the result, This study set up two premises for understanding “Sanjungjapgok(山中雜曲)” based on the orientation of ‘NakGye gathering(洛契 會)’ and ‘Gwangsan Kim family’s gathering(光山金氏姓會)’. At first, ‘NakGye gathering(洛契會)’ was operated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collectivity by establishing the ethics tradition arranged from the previous era.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ethical orientation in “Sanjungjapgok(山中雜曲)”. Secondly, ‘Gwangsan Kim family’s gathering(光山金氏姓會)’ was operated for the purpose of realization the moral laws in response to the ideological crisis of the collapsed Joseon and Andong after Imjin war. This appeared to enhance a sense of solidarity by causing pleasure among the members of groups in “Sanjungjapgok(山中雜曲)”. Therefore, This study would like to carry out a follow-up work on the detailed analysis of individual works of “Sanjungjapgok(山中雜曲)” on the basis of such creative context.

목차

1. 서론
2. 도학(道學)의 전통과 계보학적 전승의 의지
3. 말세(末世)의 시류(時流)와 천륜 (天倫)의 구현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승준(Lee, Seongl-jun). (2019).김득연(金得硏)의 계회(契會) 활동과 김득연(金得硏)의 계회(契會) 활동과. 한국언어문학, 108 , 127-157

MLA

이승준(Lee, Seongl-jun). "김득연(金得硏)의 계회(契會) 활동과 김득연(金得硏)의 계회(契會) 활동과." 한국언어문학, 108.(2019): 127-1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