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의무이행소송의 바람직한 도입방향 ―거부처분취소소송 및 부작위위법확인소송과의 관계정립을 중심으로―

이용수 184

영문명
Desirable Way of Litigation for Mandams Action - Focusing on its Relation to Litigation for Revocation of Refusal Disposition and Litigation for Affirmation of Illegality of Omission -
발행기관
한국행정법학회
저자명
김용섭(Kim Yong Sup)
간행물 정보
『행정법학』제7호, 77~120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9.30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의무이행소송의 바람직한 도입방향을 연구하고 검토한 것으로 종래의 거부처분 취소소송, 부작위위법확인소송과의 관계 정립을 어떻게 할 것인지를 모색한 것이다. 의무이행소송을 도입하면서 거부처분취소소송 또는 부작위위법확인소송을 강제로 병합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일본의 입법례와는 달리, 당사자의 선택에 맡김으로 부작위에 대한 위법 확인이나 거부처분 그 자체의 취소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법무부 개정시안의 태도는 바람직하다고 볼 것이다. 다만, 거부처분취소소송의 판결효와 간접강제의 규정이 부작위위법확인소 송에도 준용되도록 하는 것은 과도한 규율로 이에 관하여는 적절한 교통정리가 필요하다. 아울러 법무부 개정시안에는 거부처분취소판결에 대한 간접강제와 거의 동일한 내용으로의무이행판결에 대한 간접강제를 신설하고 있으나, 이와 관련하여 거부처분 취소판결의 재처분의무와 간접강제에 관한 규정은 의무이행소송이 인정되지 아니할 경우에 우회적인 권리구제장치의 실효성을 위한 것이었기 때문에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법무부 개정시안은 의무이행소송을 두면서 별도로 부작위위법확인소송도 병치하는데 이는 신속한 부작위를 해결할 수 있는 등 당사자의 권리구제를 위하여 실효적인 측면이 강하므로 타당한 입법방향이라고 본다. 그 이유는 당사자의 신청에 전혀 응답을 하지 아니하는 경우 의무이행소송만이 가능하다면 승소의 가능성이 낮아 그 위험을 당사자가 부담할 수밖에 없으나, 의무이행소송을 제기하지 않고 부작위위법확인소송만을 제기함으로써 행정청을 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시대적 변화와 급부행정의 영역이 증대됨에 따라 의무이행소송의 도입 등 행정분쟁시스템을 완비하여야 할 필요가 있으며, 무엇보다 분쟁의 발본적ㆍ일회적 해결을 가능하게 하는 의무이행소송제도가 새로운 항고소소송의 형태로 조속히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review desirable ways of litigation for mandamus action its relation to litigation for revocation of refusal disposition and litigation for affirmation of illegality of omission. Unlike the Japan’s legislation case in which litigation for revocation of refusal disposition or litigation for affirmation of illegality of omission was decided to be compulsorily united to the litigation filed under the newly introduced mandamus action litigation system, the Ministry of Justice of the Republic of Korea has decided to allow the concerned party to select to affirm illegality of omission or cancel the refusal disposition itself at its discretion. Such attitude of the Korean Ministry of Justice is considered desirable. However, it is considered immoderate to allow the effect of decision on litigation for revocation of refusal disposition and the provision of indirect compulsory enforcement to apply to the litigation for affirmation of illegality of omission. This state is considered to be properly managed and adjusted. Meanwhile, the Ministry of Justice’s amendment draft includes a new clause which allows indirect compulsory enforcement of the decision on mandamus action nearly similar to the indirect compulsory enforcement of the decision on revocation of refusal disposition. But, this clause is desired to be deleted, because the clause of re-disposition or indirect compulsory enforcement for decision on revocation of refusal disposition is originally intended to ensure effectiveness of periphrastic remedy for rights in the event that litigation for mandamus action is not acknowledged. In addition, th Ministry of Justice’s amendment draft also allows litigation for affirmation of illegality of omission to be put side with litigation for mandamus action, which is considered reasonable, as it is expected to strengthen effectiveness for remedy of rights of the concerned including rapid settlement of the issue of omission. Its reasonableness is supported by the advantage of the litigation for affirmation of illegality of omission capable of controlling the concerned administration office even without litigation for mandamus action. In the event that only litigation for mandamus action is allowed and the concerned administration office does not properly respond to the decision thereon, the effectiveness of the decision on remedy for rights may come to fall. As society is increasingly rapidly changing and social benefit administration is remarkably expanding, the administrative dispute system such as litigation for mandamus action is urgently required to be furnished. Above all, the system of litigation for mandamus action enabling fundamental and one-time settlement of dispute shall be urgently introduced in the form of appeal suit or litiga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법무부 행정소송법 개정시안의 기본적 방향과 법체계적 특성
Ⅲ. 독일과 일본의 의무이행소송의 입법례 비교
Ⅳ. 의무이행소송과 거부처분취소소송과의 관계
Ⅴ. 의무이행소송과 부작위위법확인소송의 관계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용섭(Kim Yong Sup). (2014).의무이행소송의 바람직한 도입방향 ―거부처분취소소송 및 부작위위법확인소송과의 관계정립을 중심으로―. 행정법학, (7), 77-120

MLA

김용섭(Kim Yong Sup). "의무이행소송의 바람직한 도입방향 ―거부처분취소소송 및 부작위위법확인소송과의 관계정립을 중심으로―." 행정법학, .7(2014): 77-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