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료(史料)를 통해 본 조선피로인(朝鮮被虜人)의 일본 나에시로가와(苗代川) 정착과정 연구(2)

이용수 84

영문명
Analysis of Settlement Process of the Captured Koreans at Naeshirogawa in Satsuma Region Based on the Historical Materials
발행기관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저자명
김정호(Kim, Jung Ho)
간행물 정보
『한국정치외교사논총』제37집 제1호, 165~200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8.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임진왜란기(壬辰倭亂期, 1592-1598) 발생한 조선피로인(朝鮮被虜人)의 일본 사츠마번(薩摩藩) 나에시로가와(苗代川) 정착과정을 관련 1차 사료를 중심으로 분석하려는 것이다. 정착과정에 관한 필자의 선행 연구에 이어 정착 이후의 조선피로인 후예들의 행적과 그 의의에 초점을 맞추었다. 나에시로가와 조선인들은 정착이 완료된 이후 선조들의 전통과 문 화를 유지하면서 도공 뿐 아니라 농민, 역인(役人), 그리고 조선통사(朝鮮通詞)로서 활발한 활동을 전개했다. 구체적으로 17세기 후반에 이르러 나에시로가와 사회는 번 차원의 다양한 제도적 지원에 의거 행정조직체계가 완료되는 한편 조선인 혈통보호의 법적 장치가 마련됨으로써 안정적 발전의 기틀을 갖출 수 있게 되었다. 급속한 인구증가에 따라 1704년에서 1705 년 사이에 진행된 카사노하라(笠ノ原)로의 분촌(分寸)은 조선인 거주지역의 확대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나에시로가와 성장의 단면을 보여주는 것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나에시로가와는 분촌 이후 인구의 증가와 경제적 안정이 지속되는 등 번영을 거듭했다. 1719년 번의 직접 지배에서 다시 이쥬인(伊集院) 지토(地頭) 지배로 환원되기는 하였으나 나에시로가와에 대한 번 차원의 제도적 지원과 관심은 이후에도 확고히 유지되었다. 나에시로가와 번영의 또 다른 측면은 조선통사제도의 구축과 발전이었다. 조선통사들은 역인직을 겸임하면서 조선어의 유지라는 투철한 사명감을 가지고 19세기 후반까지 표착 조선선박과 조선인 처리에 큰 역할을 담당했다. 그러나 불행히도 이러한 나에시로가와 정착 조선피로인 후예들의 희생과 노력은 메이지유신(明治維新)과 일제의 식민지화라는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이르는 급격한 정치적 변동에 의해 좌절되고 말았다. 그 결과 나에시로가 와의 조선인들은 300년의 역사를 뒤로 하고 조선의 피를 가진 일본인으로서 살아갈 수밖에 없는 운명을 맞이하게 되었다. 나에시로가와 정착 조선인들은 불행한 근세 한-일관계사의 상징적 존재로서 그리고 자국민 보호를 위한 국가와 정부의 역할이 무엇이어야 하는지를 잘 보여주는 역사적 사례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 것이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ettlement process of the captured Koreans at Naeshirogawa in Satsuma region of Japan in the period of Imjin War(1592-1598) with the basis of historical materials. Following the author’s previous research on the settlement process, this paper mainly focuses on the acts of the descendants of the captured Koreans after their settlement. Maintaining the tradition and culture of the ancestors since the settlement was completed, the Naeshirogawa Koreans worked on positive lines as potters, farmers, local administrative officials, or Chosun Tongsa(朝鮮通詞). Specifically, in the second half of the 17th century, Naeshirogawa Korean society was able to equip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and the legal instruments for supporting its national identity and stable development, provided by Satsuma government. Some Naeshirogawa Koreans’ moving to Kasanohara(笠ノ原) during 1704- 1705 due to the rapid population growth, meant not only the enlargement of the Koreans’ residential district, but Naeshirogawa’s prosperity. And the prosperity was continued to early 19th century by population and economic growth with the continuous strong support of Satsuma government. The existence of Chosun Tongsa system was another sign of development of Naeshirogawa society. Chosun Tongsa conducted a very important role to deal the drifting Korean ships and people with responsible and self-sacrificed endeavors until the second half of the 19th century. Unfortunately, the sacrifices and efforts of the Naeshrogawa Koreans was frustrated by the Meiji Restoration and sudden political changes like colonization of Korea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As a result, Naeshirogawa Koreans had no choice but to live as Japanese with the blood of Koreans. It can be said that Naeshirogawa Koreans was an important historical example showing unhappy modern Korea-Japan relations and what should be the role of government for protecting its citizen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정착 이후의 나에시로가와 지역 발전의 특성
Ⅲ. 조선통사의 등장과 역할
Ⅳ. ‘일본 속의 작은 조선’ 나에시로가와의 쇠퇴
Ⅴ. 맺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호(Kim, Jung Ho). (2015).사료(史料)를 통해 본 조선피로인(朝鮮被虜人)의 일본 나에시로가와(苗代川) 정착과정 연구(2). 한국정치외교사논총, 37 (1), 165-200

MLA

김정호(Kim, Jung Ho). "사료(史料)를 통해 본 조선피로인(朝鮮被虜人)의 일본 나에시로가와(苗代川) 정착과정 연구(2)." 한국정치외교사논총, 37.1(2015): 165-2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