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14년도 신흥무관학교의 독립운동과 인적 연계망

이용수 393

영문명
Independence Movement of Sinheung Military School and Human Networks for Operations in 1914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박성순(Park Sungsoon)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12號, 49~7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국망 이후 국권 회복을 위한 국외 독립운동 기지들이 곳곳에 마련되었다. 러시아와 만주의 국경지대인 興凱湖 부근에 있는 蜂密山, 만주 북간도 汪淸縣에 위치한 羅子溝, 러시아의 블라디 보스토크에서 조직한 勸業會, 북간도의 墾民會, 그리고 서간도의 신흥무관학교가 대표적이었다. 그런데 1914년을 기점으로 서간도의 신흥무관학교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독립운동의 움직임이 일어났다. 일찍부터 국외 독립운동의 거점 역할을 하던 연해주 지역의 독립운동 세력이 1914 년 제1차 세계대전의 발발로 일본과 러시아와의 군사동맹관계가 형성되면서 크게 위축되자, 그 여파로 서간도가 새로운 독립운동의 중심지로 부상한 것이다. 이런 정세의 변화에 따라서 독립운동가들 사이에서는 서간도가 새로운 독립운동의 중심지가 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그 결과 일제 경찰도 이제 서간도가 한인 독립운동의 策源地 가 되고 있고, 그 중심에는 신흥무관학교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감지하였다. 서간도의 독립운동 세력도 1914년이 甲寅年, 즉 호랑이의 해인 만큼 한국독립운동의 새로운 시대가 열렸음을 주변에 선전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 신흥무관학교 측은 크게 군자금 모집과 인원 모집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노력을 집중하였다. 본고에서는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한 1914년이 독립운동 상의 새로운 전기가 되었음에 주목하 고, 이 시기에 한정해서 신흥무관학교를 중심으로 한 독립운동의 변화상을 검토해 본 것이다. 특히 주목한 것은 당시 신흥무관학교와 주변 인물들 간의 인적 연계망을 구체적으로 발굴 소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통해서 신흥무관학교가 어떻게 그토록 장기 지속적인 활동을 할수 있었는지, 당시 신흥무관학교 인사들의 활동 범위는 어디까지였는지를 가늠해 보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After the downfall of the Korean Empire, many bases for independence movement were set up in foreign countries like around a border region between Russia and Manchuria, Northern Manchuria, and Vladivostok. Among them, Sinheung Military School in Western Manchuria was representative. At this circumstances, in 1914, a new phase of independence movement centering on Sinheung Military School unfolded. Because earlier leading force of independence movement in Russian Maritime Territory shrank because of outbreak of World War I. After Russo-Japanese military alliance formed, they were suppressed by Russo-Japanese military alliance, and Western Manchuria in which Sinheung Military School settled rose to a new hub of independence movement. According to this change of circumstances, many independence movement activists insisted that Western Manchuria should be a new hub of independence movement. Japanese police also knew that there was Sinheung Military School in the center of new phase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inheung Military School also recognized the year of 1914 as a new era of independence movement, and tried to gather funds and people for independence movement. This paper focused that the year of 1914 was a new era of independence movement, and so limited in this year, investigated the activities of independence movement centering on Sinheung Military School. Especially focused on human networks for operations who helped Sinheung Military School sustain during that long term in foreign country and focused on the range of operations.

목차

Ⅰ. 머리말
Ⅱ. 신흥무관학교의 주도적 위상
Ⅲ. 안둥현의 요충지적 성격과 활동 인물들
Ⅳ. 국내에서의 청년 망명과 군자금 모집 활동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성순(Park Sungsoon). (2018).1914년도 신흥무관학교의 독립운동과 인적 연계망. 백산학보, (112), 49-70

MLA

박성순(Park Sungsoon). "1914년도 신흥무관학교의 독립운동과 인적 연계망." 백산학보, .112(2018): 49-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