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北韓學界의 文化遺産 現況調査 探索* -1960~1980년대 「역사유적 조사자료」를 중심으로-

이용수 235

영문명
A Study of Academic Exploration Regarding Current Status of Cultural Relics by North Korea’s Academic Circles -Focusing on Research Materials on Historical Relics in 1960s-1980s-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백종오(Baek Jongoh)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12號, 95~12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북한의 문화유산 정책은 해방 이듬해인 1946년에 보물, 고적, 명승, 천연기념물 보존령 을공포하며 체계적인 제도 정비와 함께 실천적인 방안이 강구되었다. 이러한 분위기에 맞추어 1963년 전국적 범위에서 력사유적 중요대상과 보존 위기 대상을 전면적으로 조사할 데 관한 문화성령 제16호 에 근거하여 전국적인 1차 현황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1980년에 2차 현지조 사를 진행하여 모두 1,800여 건에 이르는 역사유적 조사자료 를 망라하였다. 먼저 역사유적 조사자료 는 북한 소재 문화유산의 신 구 자료를 연결하는 가교 역할과 함께 자료의 공백을 메울 수 있는 자료로 평가된다. 분단의 장기화로 북한에서 생산된 조사자료및 인쇄물 등의 접근은 지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에 대한 해소책으로 역사유적 조사자료가 가지는 학술적 의미는 매우 지대하다고 할 수 있다. 또 조사과정에 촬영한 사진과 실측 도면을 방대하게 확보하였다. 대부분 1960~1980년대에 해당하며 일부 유적은 2000년대 후반의 사진도 포함되어 있다.그리고 북한 당국의 문화유산 관리원칙을 역사유적 조사자료 안에서 파악할 수 있었다. 유형별로는 고인돌과 관방유적, 시기별로는 청동기시대와 조선시대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관방유적은 고대로부터 조선시대까지 지속적으로 사용되었다. 이는 국난극복의 상징 으로 자리매김하는데 더없이 좋은 소재가 된다. 즉 외세와 싸워 이겨낸 민족적 자긍심 고취와도 연관되며 지배이데올로기에 효율적인 ‘인민 교양사업’의 일환으로 판단된다. 최근 남북 관계의 개선과 평화 분위기가 성숙함에 따라 개성 고려궁성(만월대) 발굴조사 재개, 철원 궁예도성 공동 발굴조사 합의 등 남북학술 교류사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이 역사유적 조사자료 가 ‘歷史 共同體’라는 ‘民族의 同質性’ 회복에 또 하나의 단초가 되지 않을까 한다.

영문 초록

As for North Korea’s policies on cultural relics, practical plans have been sought along with reorganization of systematic institutions through announcement of “Preservation Order on Treasures, Historical Sites, Scenic Spots, and Natural Monuments” in 1946, which was one year after the liberalization from colonial rule. Following the trend, the first research on the current conditions was conducted nationwide in 1963 on the ground of Cultural Department Order No. 16 regarding the total survey to identify major historical relics and those at risk in terms of preservation. Secondary field research was conducted in 1980 and about 1,800 cases have been covered in total on in Research Materials on Historical Relics. “Research Materials on Historical Relics” took the role to connect old and new research materials on cultural relics located in North Korea and bridges the gap in materials. Due to long period of national separation in Korean peninsula, access to research materials and publications produced in North Korea are very restrictive. As a solution for that, “Research materials on Historical Relics” has academic significance. It also includes huge volume of photos and drawing by actual survey, most of which belonged to 1960s- 1980s. Some photos were taken in the late 2000s. Also, it is possible to grasp maintenance principle of North Korea’s government for cultural relics through Research Materials on Historical Relics. Classifying the materials, dolmen and defense relics took high portion by type while Bronze Age and Joseon Dynasty took high portion by period. In particular, defense relics had been used since ancient times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steadily. They were useful materials to symbolize overcoming of national hardships. They were related to encouraging pride of people that fought again and won foreign invasion, and have been used as a part of effective tool to educate people with dominant ideology. They also became the ground to overcome the period of March of Hardship in North Korea. As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is improving and peaceful atmosphere is matured, academic exchange projects betwee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are actively being promoted, including restarting excavation research on Goryeo Palace (Manwoldae) in Gaeseong, agreement on co-excavation for Gungye Castle City in Cheolwon, etc. I assume that this “Research Materials on Historical Relics” can provide another beginning for recovery of homogeneity of people as a historical community.

목차

Ⅰ. 머리말
Ⅱ. 북한의 문화유산 관련 법제 略史
Ⅲ. 북한 「역사유적 조사자료」의 추진 과정과 구성 소개
Ⅳ. 북한 「역사유적 조사자료」의 내용 탐색
Ⅴ. 맺는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종오(Baek Jongoh). (2018).北韓學界의 文化遺産 現況調査 探索* -1960~1980년대 「역사유적 조사자료」를 중심으로-. 백산학보, (112), 95-128

MLA

백종오(Baek Jongoh). "北韓學界의 文化遺産 現況調査 探索* -1960~1980년대 「역사유적 조사자료」를 중심으로-." 백산학보, .112(2018): 95-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