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매체 언어의 국어과 교육과정 수용 방안 연구

이용수 611

영문명
A Study on the Acceptance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Media Language
발행기관
동남어문학회
저자명
김영선(Kim Young Seon)
간행물 정보
『동남어문논집』동남어문논집 제46집, 299~32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1.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언어와 매체가 2015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가지는 위상에 대해서 살핀다. 이를 바탕으로 ‘매체 언어’와 관련된 내용이 보다 통합적으로 조정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국어과의 궁극적인 목적은 문식성(literacy)의 강화에 있다. 텍스트를 이해하고 비판하여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은 문식성 교육의 최종적인 목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기존의 음성 언어, 문자 언어와 더불어 매체 언어 또한 문식성 교육의 기초적인 수단이라는 점에는 이의가 없다. 그러나 매체 언어에 대한 중요성이 갈수록 강조되고 있지만 이들에 내재된 규칙성이나 교육 내용, 수업 방안 등 많은 부분이 논의되어야 할 필요성을 가지고 있다. 매체 언어를 대하는 관련자의 입장 또한 교육 외적인 이유로 매체언어의 처리 문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매체 언어 교육의 목적이 문식성 확보에 있다는 전제 하에 본고는 매체 언어와 관련된 내용이 2015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어떻게 통합되어 있는지를 살핀다. 또한 매체 언어와 관련된 내용이 교육과정 속에서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를 살펴서 매체 언어가 다른 내용과 충분히 통합적으로 다루어질 수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study examines the status of Language and Media in the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2015. Based on this, they argue that content related to media language needs to be more integrated. The ultimate goal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s to strengthen the literacy. Developing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criticize text and to voice oneself is the ultimate goal of a literacy education. In this regard, there is no question that the media language, along with the existing voice language and text language, is also a fundamental means of literacy education. However, while the importance of the media language is increasingly emphasized, much of the rules, educational content and teaching methods inherent in them need to be discussed. The related person s position on media language is also affecting the processing of media language for reasons other than education. On the premise that the purpose of media language education is to secure a literacy, it looks at how contents related to media language are integrated into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s revised in 2015. We will also look at how media language-related content is being developed in the curriculum and argue that the media language can be adequately integrated with other contents.

목차

1. 들어가기
2. 선행 연구와 통합적 관점
3. 국어과 교육과정과 매체 언어 교육
4. 매체 언어 교육의 통합 방안
5. 마무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선(Kim Young Seon). (2018).매체 언어의 국어과 교육과정 수용 방안 연구. 동남어문논집, 46 , 299-324

MLA

김영선(Kim Young Seon). "매체 언어의 국어과 교육과정 수용 방안 연구." 동남어문논집, 46.(2018): 299-3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