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북한지역 신석기시대 집자리 유적의 발굴보고와 연구성과

이용수 478

영문명
Excavation report and studying the dwelling site of the Neolithic in North Korea
발행기관
한국신석기학회
저자명
구자진(Koo, ja-jin)
간행물 정보
『한국신석기연구』제 35호, 75~10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7.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집자리 연구는 1950년 북한에서 발굴 조사된 궁산 유적이 그 시발점이 된 이래 70년 가까운 역사를 지닌다. 신석기시대 집자리 연구는 초기에 북한에서는 집의 상부구조 복원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으며, 남한에서는 시기에 따른 집자리 구조나 입지, 마을의 배치 등 이 검토되었다. 본고에서는 북한에서 보고된 신석기시대 집자리 유적의 발굴조사 보고를 분석해 발굴조사와 결과보고에서 들어나는 특징과 변화양상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검토 결과, 시기에 따른 발굴보고문의 체계 혹은 내용의 질과 양적인 면에서 많은 변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신석기시대 집자리 유적에 국한된 것이 아닌 북한 고고학 연구의 전반에 걸쳐 일어난 현상으로 판단된다. 북한에서의 신석기시대 집자리 유적에 대한 발굴보고문은 1970년 대 중반 이후, 신석기시대 집자리 유적의 발굴조사가 급격히 감소함과 동시에 이전 시기의「유적 발굴보고」,「고고민속론문집」,「고고학자료집」 등이 사라지면서 1986년 창간한 「조선고고연구」에 발굴보고가 이루어지면서 급격히 쇠퇴해 가는 양상을 보인다.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연구는 초기에 북한지역에서 이루어진 궁산, 지탑리, 금탄리, 서포항 유적 등의 발굴조사 및 연구성과를 토대로 그 뼈대를 잡았다고 해도 무방하다. 그러나 197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북한지역 신석기시대 유적의 발굴보고문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더 이상 북한지역 의 신석기시대 유적을 통한 연구의 진전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더욱 아쉬움으로 남는다.

영문 초록

The study of the dwelling site of the Neolithic in Korea dates back to 70 years since the beginning of the Ruins of Gungsan which was excavated in North Korea in 1950. In the early Neolithic, the focus was on restoration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house, In South Korea, the structure of the dwelling site, the location of the dwelling site and the location of the village were examined.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excavation survey report of the Neolithic dwelling site ruins reported in North Korea and examin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the excavation survey and result report. As a result of the review,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many changes in the quality and quantity of the system or content of the excavation report according to the time. This is not limited to the sites of the Neolithic, but is a phenomenon that has arisen through North Korea s archeological research. The excavation report of the dwelling site of the Neolithic in North Korea Since the mid 1970s, the excavation survey of the remains of the Neolithic dwelling site has been drastically reduced and the excavation report has been simplified. The study of the Neolithice in Korea was based on the excavation survey and research results of the ruins of Gungsan, Jitapri, Geumtanri and Seopohang in North Korea. Due to uncertainty about the report of excavation of remains of Neolithic in North Korea, it is difficult to advance research through the Neolithic ruins of North Korea.

목차

Ⅰ. 머리말
Ⅱ. 유적 조사현황
Ⅲ. 발굴보고의 검토
Ⅳ. 집자리(마을)의 연구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구자진(Koo, ja-jin). (2018).북한지역 신석기시대 집자리 유적의 발굴보고와 연구성과. 한국신석기연구, (35), 75-100

MLA

구자진(Koo, ja-jin). "북한지역 신석기시대 집자리 유적의 발굴보고와 연구성과." 한국신석기연구, .35(2018): 75-1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