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정 역사교과서의 한국고대사 서술과 유사역사 문제

이용수 343

영문명
The Description of Ancient Korean History in the State-Issued History Textbook and the Pseudohistory Issues
발행기관
한국역사교육학회
저자명
이정빈(Lee Jeong bin)
간행물 정보
『역사교육연구』제31호, 7~3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7.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국정 역사교과서(2017) 『고등학교 한국사』와 『중학교 역사 1』의 한국고대사 서술을 분석한 것으로, 구성과 유사역사 문제에 주목하였다. 우선 국정 역사교과서와 검정 역사교과서의 구성을 비교했다. 전반적으로 분량이 대폭 증가했다. 고대사 서술 분량의 증가는 국정 역사교과서 편찬의 방침이었다. 고대사 서술을 강조함으로써 민족주의를 내세우고자 했다고 이해된다. 주제별로 나누어 보면 정치ㆍ군사사와 문화ㆍ교류사가 증가했다. 반면 사회ㆍ경제사는 크게 축소되었다. 사회ㆍ경제사 축소는 학습부담 경감이 이유였다. 하지만 그 결과 고대사회의 구조와 특징이 제대로 설명되지 못한 채 국가서사가 강조되었다. 특히 전쟁을 통해 국왕 중심의 강국ㆍ강대국으로 발전한 모습이 부각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고조선 서술이 주목된다. 여타의 고대국가 서술과 비교해 비중이 높아졌는데, 역시 고조선을 강국ㆍ강대국으로 묘사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그리고 중등 교육과정의 교과서임에도 불구하고 주를 통해 학설까지도 소개했다. 그런데 주를 통해 소개하고자 한 것은 근래 활동 중인 유사역사가의 주장이었다. 고조선의 영역과 한사군의 위치 문제가 대표적이다. 주지하다시피 유사역사가의 대부분은 고조선의 영역에 도착적인 모습을 보이는데, 그 기원은 1974년 박정희 정부의 역사 교과서 국정화로부터 촉발된 ‘고대사파동’에서 찾을 수 있다. ‘고대사파동’은 1970년대 중반~1980년대 역사교과서 서술에 영향을 미쳤다. 국정 역사교과서(2017)의 유사역사 문제는 1970년대 중반~1980년대 이른바 ‘고대사파동’과 그에 따른 국정 국사교과서 서술이 재현된 양상이다. 이 점에서 국정 역사교과서의 한국고대사 서술은 국가주의와 國粹主義가 결합한 또 하나의 사례로 주목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description of ancient Korean history in the state-issued history textbook (2017), “Korean History for High School” and “History 1 for Middle School”, by focusing on the textbook’s composition and pseudohistory issues. At first, this paper compared the composition between the state-issued history book and the state-authorized textbooks. The amount of ancient history content in the state-issued history textbook had been increased dramatically compared with the state-authorized one. Thematically, the number of contents in the political, military, literature, and exchange history had been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amount of social and economic history content had greatly been diminished. As a result, the national narrative was emphasized without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ancient society properly. Especially, through the narrative of a war, the aspect of the state centered around the king had been developed into a powerful state. The description of Gojoseon period greatly had been strengthened compared with other periods. The narrative contents about Gojoseon were also focused on describing it as a powerful state, and the pseudohistorian’s opinion was partly accepted through the annotations. The opinion was about the territory of Gojoseon and Han’s four commanderies. The origins of that opinion could be found in ‘Crisis in the Study of Ancient History of Korea,’ provoked by the period of the Park Jung-hee government’s state-issued history textbook. It is the reappearance of an aspect of ‘Crisis in the Study of Ancient History of Korea’ and the description of the state-issued textbook according to that from the mid-1970s to the 1980s. The ancient Korean history field in the state-issued history textbook (2017) needs to be noted as another example of the combination of chauvinism and nationalism.

목차

내용요약
Ⅰ. 머리말
Ⅱ. 사회ㆍ경제사 축소와 정치ㆍ전쟁사 확대
Ⅲ. 고조선ㆍ한군현 서술에 나타난 유사역사 문제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빈(Lee Jeong bin). (2018).국정 역사교과서의 한국고대사 서술과 유사역사 문제. 역사교육연구, (31), 7-37

MLA

이정빈(Lee Jeong bin). "국정 역사교과서의 한국고대사 서술과 유사역사 문제." 역사교육연구, .31(2018): 7-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