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전담경찰관 역할분석에 관한 질적 연구
이용수 796
- 영문명
-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Role of the Police Officers in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저자명
- 김주한(Ju-Ha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제14권 제2호, 11~3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과거 정부는 학교폭력을 4대 사회악에 포함시키고 학교폭력 근절을 위해 전국의 경찰서에 소년범 수사관을 중심으로 학교전 담경찰관을 신설하였다. 이전 정부에서는 학교폭력 피해 응답율 감소로 경찰서 실적을 평가하였다. 교육부에서 전국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피해 응답율은 2012년 9.6%에서 2016년과 2017년에 0.8%로 줄어들었고, 교육부와 경찰은 학교폭력이 줄어들었 다는 발표를 하였다. 최근까지 학교전담경찰관역할에 대한 효과는 적극적인 활동으로 학교폭력이 감소하였다는 내용을 중심으로 홍보하였다 .
그러나 현 정부는 학교전담경찰관의 역할을 피해응답율 감소에서 벗어나 학교전담경찰관의 임무를 학교 안팎 청소년까지 분야를 확대하고 선도와 교육중심으로 방향을 전환하려고 노력 중이다. 학교전담경찰관의 임무가 변화하는 상황에서 연구자는 학교전담경찰관역할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문제점 발견을 위해 충북지역의 학교전담경찰관을 대상으로 심층연구를 실시하고 학교 전담경찰관의 역할수행 중에 겪게 되는 심리적인 갈등과 개선이 필요한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라 학교전담경찰관의 임무개선과 전문화 및 독립적인 부서 신설 등의 의견을 도출하는 등 학교전담경찰관 역할에 대한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In the past, the government has included school violence in the four major social classes, and has established a police officer dedicated to juvenile cases in police stations across the country to eradicate school violence. The previous government ranked police stations with reduced response rates for school violence. The Ministry of Education s response rate for students nationwide decreased from 9.6 percent in 2012 to 0.8 percent in 2016 and 2017,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police announced that school violence has stabilized. Until recently, the effect on the role of school police has been promoted in the center of statistics that show that school violence has decreased due to active activities.
However, the current government is trying to shift the role of school police away from statistics to expand the scope of school police duties to the inner and outer schools, and shift its focus toward leadership and education. In the context of changing the duties of the school police, researchers conducted in-depth studies on the school police officers in Chungbuk area and analyzed the psychological conflicts and internal factors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mprovement of the school policeman s mission and the suggestion of specializ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independent department were suggested and the improvement of the school police role was suggest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형자의 가족유대와 교도소내 규율위반
- 학교전담경찰관 역할분석에 관한 질적 연구
- 한국사회의 변화하는 고독사 현상과 대책에 관한 연구
- 사이버 공간에서의 심리적 침해행위와 러시아 사이버 전략의 동향
- 최근 우리나라 자녀살해의 양상
- 데이트폭력 피해 대학생의 심리적 특성에 대한 사례분석
- 주말체육활동에 대한 만족도가 학교폭력행동 및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경찰공무원의 정서지능과 부정적 인지가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CPTSD)에 미치는 영향
- 아동학대 신고의무제도의 활성화 방안 연구
- 보험범죄 피의자와 일반인의 보험사기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 어머니가 지각한 가족스트레스가 유아의 수면문제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유아 간 수면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STEAM 기반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 분석: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