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기혼여성의 시간제 근로와 가족 내무급노동 분배에 관한 연구

이용수 356

영문명
Part-time Employment and Division of Housework among Married Women in South Korea
발행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저자명
안미영(Mi Young An)
간행물 정보
『여성연구』통권 제97호, 45~7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여성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기혼여성의 시간제 근로가 무급노동 분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한국 통계청의 생활시간조사 2014년도 자료에 대한 로짓회귀분석 결과 시간제로 근로하는 경우 전업주부에 비해 약하지만 더 평등하게 무급노동을 분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간제로 근로하는기혼여성이 전업주부에 비해 더 평등하게 무급노동 분배를 하는 것은 20-44세 연령대에서만 나타났다. 전체 시간제 근로 여성의 무급노동 시간량은 10세 미만 가구원수에 의해 주요하게 달라졌으며 전업주부와 달리 배우자의 성역할 인식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시간제 근로 여성의 무급노동 시간량은 소득 자원과 무관한 반면 무급노동 분담률은 주로 배우자의 성역할 인식이 진보적이면 감소하면서도 본인의 절대적 소득이 높으면 미비한 수준이지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분석한 결과 20-44세 시간제 근로 여성의 가사노동 시간량은 전업주부와 달리 10세 미만 가구원수, 배우자의 교육수준이나 성역할 인식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분담률은 본인의 절대적 소득에 의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45세 이상 기혼여성 중 시간제 근로 여성의 무급노동 시간량은배우자의 건강상태에 주요하게 달라졌다. 분담률은 배우자의 성역할 인식과 건강상태에 의해 주요하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기혼 여성의 시간제 근로가 가족 내 무급노동 분배의 젠더 불평등에 가지는 이론적 함의와 일가정양립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part-time employment and division of housework among married women in South Korea. A sample is drawn from 2014 Time Use Survey. Married women working part time were found to divide housework more equally than housewive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art-time employment and housework division was found among women aged 20 and 44. Time spent by all women working part time was largely determined by number of family aged less than 10 and was free from husbands’ gender role attitude which was significantly influential for housewives’ time spent on housework. Income either in absolute or relative terms was irrelevant for time spent on housework by married women working part-time. By contrast, we found that share of housework among the part-time workers largely increased if husbands had traditional attitude on gender role. But importantly the share was also subject to their absolute amount of income which decreased unequal division of housework. Time spent by women aged 20 and 44 working part-time was free from husbands’ education level, attitude on gender role and number of family aged less than 10 which were main determinants of housewives’ time spent on housework. Share of housework among this group decreased with the absolute amount of income. By contrast, time spent by women aged 45 and over working part-time largely increased when husbands’ health status was poor. Share of housework among the older female part-time workers was determined by husbands’ gender role attitude and health status. We discuss women’s part-time employment and gender inequalities in division of unpaid work and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work-family reconciliation.

목차

I. 서 론
Ⅱ. 기존 문헌 분석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미영(Mi Young An). (2018).한국 기혼여성의 시간제 근로와 가족 내무급노동 분배에 관한 연구. 여성연구, , 45-71

MLA

안미영(Mi Young An). "한국 기혼여성의 시간제 근로와 가족 내무급노동 분배에 관한 연구." 여성연구, .(2018): 45-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