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악학궤범』 소재 당비파의 상조(上調)와 하조(下調)의 성격

이용수 75

영문명
The Nature of the Upper and Lower Modes of the Tang Pipa in the Akhakgwebeom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이숙희(Yi Suk hui)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37집, 267~304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악학궤범』 당비파의 상조와 하조 산형을 분석하여 그 성격을 밝히고, 이것이 우리나라 당악조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당비파의 악조(樂調)는 상조와 하조로 구분된다. 상조와 하조는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첫째 개방현의 음이 다르다. 상조 개방현의 음은 무현(㒇)-대현(夾)-중현(㑣)-자현(林)이고, 하조 개방현의 음은 무현(㑲)-대현(太)-중현(㑣)-자현(林)이다. 즉 상조의 무현(㒇)과 대현(夾)의 개방현 음이 하조의 무현(㑲)과 대현(太)의 개방현 음보다 각각 1율씩 높다. 둘째 合(黃)의 음이 상조에는 무현 1주(柱)에, 하조에는 무현 2주(柱)에 위치해 있다. 셋째 상조 산형의 출현음은 황·태·협·중·임·남·무이고, 하조 산형의 출현음은 황·태·고·중·임·남·응이다. 출현음의 수는 동일하지만, 一과 凡에 해당하는 음이 서로 다르다. 즉 상조의 一은 夾, 凡은 無이고, 하조의 一은 姑, 凡은 應이다. 상조와 하조의 차이점은 출현음 중 一과 凡에 해당하는 음이 서로 다른 것과 상조 무현과 대현의 개방현 음이 하조보다 각각 1율씩 높은 점이다. 상조와 하조 산형의 음 구성을 기준으로 할 때 상조는 협종균, 하조는 중려균에 속한다. 그러나 당악조는 속악조(俗樂調)에 속하므로 협종균과 중려균에서 치조를 제외한 각각 네 종류의 악조가 상조와 하조의 악조와 일치 가능하다. 그리고 후대에 전승되는 당악조로 볼 때 협종균의 쌍각과 쌍조의 두 종류, 중려균의 정평조·도궁·소석조의 세 종류의 악조가 상조와 하조의 악조와 일치 가능하다. 그리고 공척조를 기준으로 할 때는 척자조와 소공조의 두 종류가 상조와 하조의 악조와 일치 가능하다. 당비파의 상조와 하조의 출현음만으로는 악조를 특정하기 어려우므로, 당비파 상조와 하조의 성격을 구체적으로 밝히기 위해 당악기와 당악곡의 악조를 살펴본 결과, 당악기의 경우 아쟁·대쟁 산형에는 황·태·협·중·임·남·무의 황종우조(협종우)가 표시되어 있고, 당적·당피리·퉁소 산형에는 황·태·고·중·임·남·응의 황종치조(중려치)가 표시되어 있었다. 그러나 아쟁·대쟁과 당적·당피리·퉁소 모두 연주법상으로는 황종치조와 황종우조 두 악조 모두 연주 가능하다고 보았다. 당악곡의 악조는 황종치조(중려치)와 황종우조(협종우)의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났는데, 황종우조로 된 악곡의 경우 7음계의 완전형과 6음계의 불완전형으로 나뉘었고, 불완전형이 많은 것이 특징이었다. 이상과 같이 당악기와 당악곡에서 당악조의 성격이 분명히 드러남을 알 수 있었다. 즉 상조의 황·태·협·중·임·남·무는 협종우 즉 황종을 궁으로 하는 우조(황종우조)이고, 하조의 황·태·고·중·임·남·응은 중려치 즉 황종을 기본음(궁)으로 하는 치조(황종치조)이다. 결국 당비파의 상조와 하조는 산형의 출현음만으로는 여러 가지 악조로 해석 가능하지만, 당악기와 당악곡을 기준으로 했을 때는 상조는 황종우조, 하조는 황종치조의 각각 한 종류의 악조만 가능하다고 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angjo (上調 upper mode) and hajo (下調 lower mode) according to the sanhyeong (散形) turning diagrams of Tang pipa in the Akhakgwebeom, figure out their nature, and demonstrate their relation to “Tang music (dang ak) in Korea. The notes on the Tang pipa are divided into sangjo and hajo, which are different in various ways explained in the paper. Since it was difficult to specify tones only by analyzing notes used in the pieces, the investigator examined the notes of Tang instruments and melodies to shed light on the nature of the Tang pipa, the upper and lower sangjo and hajo modes more specifically, and found that Tang instruments used the same notes as the Tang pipa’s “lower mode in Korea. The notes of Tang melodies were also divided into sangjo and hajo types. The “upper” sangjo type had the complete form of a heptatonic scale and the incomplete form of a hexatonic scale, showing the incomplete form in many place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nature of Tang notes is clearly revealed through Tang instruments and melodies. In other words, the notes hwang, tae, hyeop, jung, im, nam and mu of the “upper” sangjo mode belong to Hyeopjongwu or ujo mode, the main hwangjong note of which is gung (hwangjong ujo), while the notes hwang, tae, go, jung, im, iam, and eung belong to jungryeochi or chijo mode, the main hwangjong tone is the basic note gung (hwangjong chijo). One can interpret the sangjo and hajo of the Tang pipa only with the notes used in the sanhyeong diagram, but sangjo and hajo can have only one type of tone each, hyeopjong ujo and hwangjong chijo, respectively, when the criteria are Tang instruments and melodies. Although the Tang pipa is a Tang instrument and should thus be related to sokakjo mode, its lower hajo mode is chijo without sokakjo. It is thus difficult to find a relationship between the sangjo and hajo of the Tang pipa in terms of sokakjo. There are a couple of questions still remaining, including the reasons behind differences between the tones of the string and wind instruments among Tang instruments and also a large number of incomplete forms for the sangjo type in Tang melodies. These questions may be addressed as research tasks in future studies.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본론
Ⅲ.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숙희(Yi Suk hui). (2018).『악학궤범』 소재 당비파의 상조(上調)와 하조(下調)의 성격. 국악원논문집, 37 , 267-304

MLA

이숙희(Yi Suk hui). "『악학궤범』 소재 당비파의 상조(上調)와 하조(下調)의 성격." 국악원논문집, 37.(2018): 267-3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