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국악 교육의 기반으로서 대학 교육의 문제와 과제

이용수 259

영문명
Using Education Universities as the Foundation for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Problems and Challenges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김혜정(Kim Hey Jung)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37집, 11~2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초등교육의 주체가 될 예비 교사와 예비 예술강사의 교육 과정과 내용을 살펴보고 그것과 초등교육 현장과의 간극을 점검함으로써 우리가 해결해 가야할 과제가 무엇인지 정리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논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의 국악교육은 학교별로 시수와 내용의 차이가 큰 편이다. 초등학교 음악교육에서 국악의 비중이 40%에 가까운 수준이므로 교육대학에서의 비중 역시 그와 비슷한 수준으로 상향조정될 필요가 있다. 특히 이론과 민요가창, 장구, 단소, 소금 등의 실기가 기본적인 실력을 갖추어야만 음악수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절대적인 시간 확보가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일반 대학의 국악과 출신들 가운데에서 예술강사로 진출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는 만큼 국악과 학생들이 기본적으로 배우는 이론 과목에서도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요소들을 교육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국악과의 교육과정에 있어서 기본적인 국악개론이나 한국음악사와 같은 이론 강좌 이외에 교육관련 강좌로는 주로 교육방법에 집중하는 과목들만 개설되어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내용은 일반적인 국악이론으로 배우고, 교육 방법 교육은 현실감이 부족하다. 셋째, 국악과에서 기초이론을 배우는 과목의 주요 교재라 할 수 있는 국악개론서는 구성과 체재에 있어서 장르론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고, 음악이론에 있어서도 과거의 역사를 아우르고 있다. 그에 비해 초등 음악과 교육과정의 국악관련 내용 요소들은 민요의 토리와 장단, 말붙임새와 장단의 세 등 실제 음악에 활용되는 부분, 창작의 기초가 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국악과의 학생들에게 교육되는 국악개론과 초등 음악과 교육과정에서의 내용 요소에 대한 이해에는 상당한 간극이 발견되고 있다. 물론 초등 교육현장에서 교육되어야 할 내용과 음악가로 성장하고 활동해야 할 이들이 배워야 할 내용이 꼭 같아야 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서로 독립된 선택을 거듭하여 공생하기 어려운 차이로 벌어져서는 곤란할 것이다. 어느 정도 합의의 과정을 거치고 납득할 수 있는 수준에서 조정하고 정리되어야 할 것이다. 국악계와 국악교육계의 원활한 소통을 통해 서로 상생해 나갈 수 있도록 열띤 토론의 장이 빈번하게 일어나기를 기대해 본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curricula of education universities’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outcomes for elementary Korean music teachers. We find, first, that since Korean music accounts for 40 percent of primary school music education, traditional music should be taught at similar rates in education universities.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dedicate time for the teaching of basic practical skills in folk song singing, janggu (hourglass drum), danso (short vertical flute), sogeum (small transverse flute), etc., along with theory. Second, given that there are practitioners entering classrooms as lecturers, the big difference between what students learn in a Depart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t a regular university and the content of Korean music education in education universities must be pointed out. While prospective practitioner-lecturers learn about the history and genres of Korean music in general universities, the emphasis is on composition theory and practical theory. It is necessary to include important aspects of curricula and textbooks in regular traditional music departments. Conversely, education universities focus on teaching methods rather than important content. While the aims of musicians and educators are of course different, this difference is something we must reconcile to some degree if we are to successfully teach gugak at the elementary level. Hopefully, the Korean music community and the Korean music education community can work together to align university curricula with what is needed for a successful elementary school program.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교육대학과 일반대학 국악과의 국악교육 관련 교육과정
Ⅲ. 교육대학과 일반 대학 국악과의 교육 내용적 간극과 과제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혜정(Kim Hey Jung). (2018).초등 국악 교육의 기반으로서 대학 교육의 문제와 과제. 국악원논문집, 37 , 11-29

MLA

김혜정(Kim Hey Jung). "초등 국악 교육의 기반으로서 대학 교육의 문제와 과제." 국악원논문집, 37.(2018): 11-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