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민족지사 李寧齋의 중국명산 각자 笑啼巖

이용수 25

영문명
This Article Analyzes the ‘Sojeam(笑啼巖)’ in Various Chinese Mountains, Carved by Lee Yeong-Jae(李寧齋), a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발행기관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저자명
박현규(Park Hyun kyu)
간행물 정보
『순천향 인문과학논총』37권 2호, 85~11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한국 민족지사 李寧齋가 중국 여러 명산에 새긴 ‘笑啼巖’을 분석한 글이다. 이영재는 일제강점기에 중국에서 활동한 민족지사이다. 1930년에 공동운명체인 한국과 중국이 함께 일제의 침공에 대해 함께 정의를 부르짖자는 취지를 담은 􋺷화려정의􋺸를 漢口에서 출간했다. 이영재가 이강호일 개연성이 높다. 이강호의 호가 영재이다. 두 사람의 본관이 진성 이씨이고, 출생년이 1869년(고종 6)이다. 이강호 집안에서 제시한 이영재 소재암의 소재지가 모두 중국 현장에서 확인된다. 소제암은 망국인이 웃지도 못하고 울지도 못하는 괴로운 마음을 담은 석각이다. 영재가 명산의 수려한 경관에 매료되어 웃다가(笑) 망한 고국의 현실과 자신의 처지를 돌아보고 운다는(啼) 심정을 담았다. 현재 중국 대륙에 소제암 석각 5곳이전해온다. ‘제일’ 석각은 1932년에 새긴 여산 소제암, ‘제이’ 석각은 1934년에 새긴 계공산 소제암, ‘제삼’ 석각은 1934년~36년 사이에 새긴 북고산 석각, ‘제사’석각은 1936년에 새긴 태산 소제암, ‘제오’ 석각은 1938년경에 새긴 악록산 소제암이다. 오늘날 중국에서는 이영재의 소제암을 抗日 유적으로 여기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nalyzes the ‘Sojeam (笑啼巖)’ in various Chinese mountains, carved by Lee Yeong-Jae (李寧齋), a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Lee Yeong-Jae was born in 1869.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e led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China. In 1930, he published 􋺷Hwuryeo Jeongui (華麗正義)􋺸, arguing that Korea and China should fight together against the invasion of Japan. Although Lee Gang-Ho’s (李康浩) family thought that he and Lee Yeong-Jae were the same person (since Lee Gang-Ho’s pen name was “Yeong-Jae”), the only solid connection between them is one of their ancestors Jinsung (眞城) Lee, who was born in 1869 (Gojong 6th). Sojeam is a type of stone carving that was done to reflect the despair over the national ruin. The stone carvings contained the feelings of delight and attraction that Lee Yeong-Jae experienced in the amazing scenery of mountains surrounding him, and the feelings of sorrow he conveyed over the sad reality of his nation and himself. There are at least five Sojeam carvings. The first stone carving is the Lusan (廬山) Sojeam carved in 1932, the second carving is Jigongsan (鷄公山) Sojeam carved in 1934, the third carving Beigusan (北固山) Sojeam was supposed to have been carved in 1934~1936, the fourth carving Taisan (泰山) Sojeam was supposed to have been carved in 1936, and the fifth Yuelusan (岳麓山) Sojeam carving was supposed to have been carved in 1938. The exact location of the fourth carving is not known ye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re exists a sixth and even seventh carving after the fifth. Nowadays, the Sojeam of Lee Yeong-Jae are considered as anti-Japanese monuments in China.

목차

I. 笑啼巖과 망국의 한
II. 李寧齋의 생애와 고증
III. 笑啼巖의 내용과 의미
I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현규(Park Hyun kyu). (2018).민족지사 李寧齋의 중국명산 각자 笑啼巖.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37 (2), 85-112

MLA

박현규(Park Hyun kyu). "민족지사 李寧齋의 중국명산 각자 笑啼巖."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37.2(2018): 85-1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