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사 교육과정에서 ‘1987년 이후의 역사’ 서술의 필요성과 구성방안 모색

이용수 77

영문명
The Necessity and Composition Measures of Description of ‘History Since 1987’ in Korean History Curriculum
발행기관
한국역사교육학회
저자명
강화정(Kang, Hwa-Jung)
간행물 정보
『역사교육연구』제30호, 81~114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역사교육은 현재와 ‘가까운 역사’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오늘을 만들어온 ‘가까운 역사’는 학습자의 삶과 직접 관련되기 때문이다. 한국 현대사에서 1987년은 현재 우리 삶의 구조를 만든 중요한 기점이다. 1987년을 역사적 전환기로 바라보는 인식은 ‘87년 체제론’ 과만난다. 6월 항쟁 이후 한국 사회는 형식적 민주주의가 제도화되고 박정희식 발전 체제를 벗어나 대중 사회로 진입해 갔다는 논리이다. 역사교육은 1987년 이후의 역사에서 민주주의 서사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우선, 6월 항쟁 이후 민주화는 한국사회에 질적 변화를 가져왔다. 시민은 스스로를 권리의 주체로 인식하고, 시민사회는 성장해왔다. 동시에 시민들은 국가의 역할을 묻기 시작했다. 또, 민주화는 남북의 적대적 공존을 무너뜨리며 대결적 분위기를 완화 하고 화해 협력의 시대를 열어나갔다. 권위주의 정권의 종말과 함께 개발독재는 끝났으나 1997년 이후 신자유주의 세계화가 본격화되었다. 이 과정에서 시민은 경제적, 실질적 민주주 의에 대한 논의를 확산시켜 갔다. 1987년 이후부터 역사를 통해 학습자들은 역사를 만들어온 시민의 역할과 책임을 깊이 고민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한국사 교육과정에서 1987년 이후의 역사를 하나의 시간 영역, 독립된 장절로 서술하지 않고 있다. 2009 개정교육과정, 2015 개정교육과정 모두 그러하다. 이에 본고는 1987년 이후의 역사 교육과정안을 제시하였 다. 앞서 강조한 민주주의를 중심 서사로 교육과정안을 구성하였다. 구성안의 내용을 조직하는 과정에서 역사의 논쟁성을 강조하여, 학습자들이 민감한 사회적 논쟁을 교실 수업에서 경험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영문 초록

History education should have more interest in the present and ‘recent history’ because the ‘recent history’ building up ‘today’ is directly related to learners’ lives. In modern history of Korea, the year of 1987 is an important point that has established the current structure of our lives. The perception of viewing the year of 1987 as a historical turning point encounters the ‘system of 1987’. According to this logic, since the June Democracy Movement, Korean society institutionalized the formal democracy and entered the mass society after getting out of the development system by Park Chung-he History education needs to concentrate on the democracy narration in the history since 1987. First, since the June Democracy Movement, the democratization has brought about qualitative changes to Korean society. As citizens considered themselves as a subject of rights, the civil society has grown. At the same time, citizens started asking about the roles of state.Also, the democratization pulled down the hostile coexistence between the South and North, relieved the confrontational atmosphere, and opened the era of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Even though the developmental dictatorship was finished with the end of authoritarian regime, the neoliberal globalization was fully started after 1997. In this process, citizens spreaded the discussion of economic and practical democracy. Through the history since 1987, learners could deeply think about the roles and responsibility of citizens building up the history. However, in the current Korean history curriculum, the history since 1987 is not described as a single time domain or independent chapters & verses, which is also applied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2015 revised curriculum. Thus, this paper suggested the history curriculum since 1987 focusing on democracy as the central narrative. Emphasizing the controversy of history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the contents, it argued that learners should be able to experience the sensitive social controversy in the classroom lesson.

목차

Ⅰ. 들어가며
Ⅱ. 1987년 이후 현대사의 흐름과 서술의 필요성
Ⅲ. 현행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나타난 1987년 이후 역사
Ⅳ. 1987년 이후의 역사 교육과정 구성안
Ⅴ.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화정(Kang, Hwa-Jung). (2018).한국사 교육과정에서 ‘1987년 이후의 역사’ 서술의 필요성과 구성방안 모색. 역사교육연구, (30), 81-114

MLA

강화정(Kang, Hwa-Jung). "한국사 교육과정에서 ‘1987년 이후의 역사’ 서술의 필요성과 구성방안 모색." 역사교육연구, .30(2018): 81-1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