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 역사교사들의 교과서 평가에 나타난 특징 연구 󰠏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를 중심으로 󰠏

이용수 127

영문명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Secondary History Teachers in Evaluation of ‘Korean History’ Textbooks
발행기관
한국역사교육학회
저자명
박소연(Park, So Yeon)
간행물 정보
『역사교육연구』제30호, 41~80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교과서는 역사 수업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교재이다. 따라서 좋은 역사 교과서를 만들기 위한 연구들은 계속 진행되고 있지만 교과서 수요자 중 학생들의 인식을 볼 수 있는 연구는 미진하다. 교과서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학계의 연구 성과 등 고려해야 하는 요소들이 많다. 하지만 중등학교 학생들은 이러한 부분들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교과서에 대한 학생들의 생각을 살펴보는 것에는 일정부분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학생’이면서 미래의 ‘교사’인 예비 역사교사에 주목했다. 34명의 예비 역사들과 현행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5종을 분석 및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현행 <한국사> 교과서에 대한 이들의 인식을 정리하였다. 예비 역사교사들이 교과서를 평가함에 있어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들은 교육과정 및 집필기준의 반영, 서술 분량, 가독성, 내용 조직이었고, 본인의 역사이해 방식에 따라 내용 조직에 대한 선호도가 달랐다. 예비 역사교사들의 교과서 평가에 나타난 특징 중 주목해야 할 부분은 교과서를 하나의 텍스트로 보기보다는 성전에 가깝게 인식한다는 점이다. 예비 역사교사들이 생각하는 좋은 교과서는 어떠한 모습일지 알아보기 위하여 교과 서를 집필하도록 하였다. 예비 역사교사들이 서술한 교과서는 기존의 교과서와 수록 자료들이 매우 유사하였지만 학습지 형태로 교과서를 구성하거나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는 교과서를 서술하려는 모습도 나타났다. 또한 본인이 생각하는 역사교육의 목적이나 수업 방법을 교과서 서술에 담아내려는 노력하는 모습도 보였다. 검정 체제로 교과서가 발행되면서 교사의 교재평가 전문성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이 연구는 예비 교사의 평가 전문성 교육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extbook is the most important class material in teaching history. Although there is a continuous research on writing a good history textbook, the thinking of students has been largely overlooked. In order to make textbooks, the factor such as curriculum and academic research results need to be considered. However, since secondary school students lack the knowledge of these areas, there is some limit to how students consider history textbook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preliminary teachers, who are future teacher and current students. I first analyzed and evaluated the currant five high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with 34 preliminary teachers, then analyzed their perception on textbooks. The factor that they considered important in evaluating textbooks are National Curriculum, quantity of description, readability, and organization of content. There is a substantial difference in their preference to organizing cont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historical understanding. The most intriguing result is that the preliminary teachers regard the textbook as a bible rather than a text. Moreover, they were asked to write their own version of ‘Korea History’ textbooks in order to investigated their conception of a good history textbook. The textbooks described by preliminary history teachers were very similar to the existing textbooks. But the preliminary teachers composed the textbook in a form of worksheet with the characters and expressions popular to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content of the textbook reflected the objectives and the teaching method of the preliminary teacher in many aspects. Since the competence for textbook evaluation is an important issue in the textbook authorization system,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mplication to the education of evaluation specialization of preliminary teachers.

목차

Ⅰ. 머리말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예비 교사들의 교과서 인식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소연(Park, So Yeon). (2018).예비 역사교사들의 교과서 평가에 나타난 특징 연구 󰠏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 (30), 41-80

MLA

박소연(Park, So Yeon). "예비 역사교사들의 교과서 평가에 나타난 특징 연구 󰠏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 .30(2018): 41-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