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과서 사료의 빈도 분석을 통한 한국사 핵심 사료의 제시 가능성 탐색

이용수 103

영문명
Exploring the need and the possibility of essential historical sources in Korean History
발행기관
한국역사교육학회
저자명
박진동(Park, Jindong) 이미미(Lee, Mimi)
간행물 정보
『역사교육연구』제30호, 7~40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지식과 기능을 강조하는 방향에서 사료 학습을 발전시키려면 핵심 사료를 선정하고 그에 따라 교육과정󰠏교수학습󰠏평가의 연속선상에서 체계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역사교육의 다양성을 훼손하지 않는 전제에서 좀 더 탐구 학습을 돕는 사료를 탐색하는 방안으로 핵심 사료의 선정을 고려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교육과정을 검토한 결과 교수학습 항목에서 활용을 강조하는 정도였고 어떤 사료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화가 부족하였다. 이에 비해서 미국의 사례를 보면 목록의 제시는 물론 사료의 수준까지 고려하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한편 검정 역사 교과서는 다양한 사료를 선정하여 본문이나 탐구 활동에 배치하였으나 내용 이해를 보완하는 기능이 대부분이었다. 2009 개정 교육과 정에 따른 2011년판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6종과 2011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2014년판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8종을 탐색한 결과 각각 과반인 4종 이상과 5종 이상 수록된 사료 110건(모두 과반 50건, 2011년판만 과반 19건, 2014년판만 과반 41건)을 추출하였다. 검정 교과서가 다양성을 추구하는 가운데 이와 같이 공통 사료가 다수 나타난 점에서 향후 핵심 사료 선정의 가능성은 높다고 볼 수 있다. 이제 깊이 있고 의미 있는 사료 학습을 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교과서, 교수학습, 평가 등에서 핵심 사료를 어떻게 제시하고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궁리가 필요하며, 그러한 방향에서 본고가 수행한 기초 작업이 기여하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Although the classroom use of historical sources was emphasized in teaching and learning history, historical sources have not been prominent in the National Curriculum. With the advent of the textbook adoption system, there now are many different Korean history textbooks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however, the use of historical sources in textbooks have been limited to content verification. In the reform context that emphasizes essential knowledge and skills, there rose the need to identify essential historical sources and to systemize the relationships among curriculum, instruction, and assessment. This study analyzed historical sources includ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14 Korean history textbooks with a purpose to identify essential historical sources. The analysis of the National Curriculum revealed that the selection and presentation of historical sources needs to be refined and systemized.Finding also highlighted the common historical sources across textbooks through the textbook analysis. There were 110 common historical sources which were included in more than half of 6 2011 textbooks and 8 2014 textbooks (50 sources listed in more than half of both 2011 and 2014 textbooks, 19 in 2011 textbooks, and 41 in 2014 textbook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possibility to agree on essential sources is high. We discuss how the focus on essential sources can expand and enrich history instruc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국내외 교육과정에 나타난 사료 및사료 학습
Ⅲ. 교과서 공통 사료를 통한 핵심 사료의 선정 가능성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진동(Park, Jindong),이미미(Lee, Mimi). (2018).교과서 사료의 빈도 분석을 통한 한국사 핵심 사료의 제시 가능성 탐색. 역사교육연구, (30), 7-40

MLA

박진동(Park, Jindong),이미미(Lee, Mimi). "교과서 사료의 빈도 분석을 통한 한국사 핵심 사료의 제시 가능성 탐색." 역사교육연구, .30(2018): 7-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